북핵 6자회담 미국측 수석대표인 크리스토퍼 힐 국무부 동아시아. 태평양 담당 차관보는 22일 "북한은 영변 원자로를 빠른 시일내 폐쇄할 의사가 있으며 2.13합의 이행은 물론 7월초 6자회담 수석대표 회담 개최방안에 대해서도 긍정적인 뜻을 피력했다"고 밝혔다.
전격적인 방북 일정을 마치고 이날 서울로 돌아온 힐 차관보는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북한 김계관 외무성 부상 등과의 협상 결과를 설명하며 이같이 밝혔다.
힐 차관보는 또 "이번 방북에서 느낀 것은 완전한 비핵화라는 궁극적 목표를 달성할 수 있다는 생각을 가지면서 동시에 부담을 느끼게 됐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와 함께 "가능한 한 조기에 6자 수석대표 회담을 갖자는 방안을 논의했다"면서 "6자 외무장관 회의 개최에 대해서도 서로 협력하기로 얘기했다"고 말했다.
힐 차관보는 "이번 만남은 김계관 부상의 초청에 응하는 형식이었고 방북 목적은 6자회담 모멘텀을 살리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또 6자 외교장관 회담이 열리면 콘돌리자 라이스 미 국무장관과 박의춘 북한 외상이 만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공동기자회견에 나선 천영우 한반도 평화교섭 본부장은 "북한측도 7월 초순께 6자 수석대표회담을 하고 그 이후 적당한 시기에 외무장관 회담을 하는 구상에 대해 긍정적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부연했다.
천 본부장은 이날 힐 차관보와의 공동 기자회견에서 이같이 말하고 6자회담 관련 일정은 의장국인 중국이 다른 참가국들과 협의해 결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천 본부장은 "북한 핵시설이 폐쇄되는 동시에 5만t의 중유를 제공하게 돼 있고 불능화까지 95만t을 제공하게 돼 있다"면서 "6자 참가국간 분담비용 원칙이 정해져 있으며 원칙대로 분담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강조하고 싶은 것은 5개국이 지고 있는 경제, 에너지, 인도적 지원의무가 이행이 안되어서 2.13 합의 이행이 지연되거나 안되는 일은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