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처남인 김재정(58)씨가 지난 1982년에서 91년 사이 전국47곳에서 224만㎡(67만여평)의 땅을 매입한 것으로 알려져 투기 의혹 등 논란이 되고 있다.
경향신문 보도 등에 따르면, 김씨는 지난 1982년 충북 옥천군 이원면 강청리 임야를 시작으로 1987년에는 충남 당진군 송산면 유곡리와 경기 화성시 우정면 주곡리, 1998년에는 경기 가평군 설악면 선촌리와 경북 군위군 산성면 화전리, 대전 유성구 용계동, 1990년에는 강원 고성군 토성면 용촌리등 임야 165만7천334㎡를 시작으로 91년까지 10년간 전국 총 47곳에서 모두 224만㎡의 땅을 각각 매입했다.
김씨의 부동산 매입 시기는 지난 82년 현대건설 퇴직 이후 현대건설 하도급 업체를 운영하던 시기와 일치하며, 이 전 시장이 현대건설에서 사장(77~88년)과 회장(88~92년)으로 재직하던 시기와도 겹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김씨가 사들인 부동산은 각종 개발계획이 시행돼 땅값이 급등했던 곳으로, 충남 당진군 임야(1만2천396㎡)의 경우 서해안이 매립되고 한보철강이 들어오면서 매매가가 크게 오른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다수의 부동산을 자신의 명의로 갖고 있던 김씨는 그동안 수억 원에 불과한 빚이나 세금을 내지 못해 수차례나 자택 가압류를 당한 것으로 나타났다. 1985년 이명박 전 시장의 친형은 상은씨와 공동명의로 서울 도곡동 땅 6553㎡(1986평)를 매입한 김씨는 1995년 이 땅을 포스코개발에 263억 원에 팔고 자신의 몫으로 145억 원을 챙겼다. 그러나 그는 2년 뒤 2억여 원의 부채를 갚지 못 해 자택을 가압류당했다. 주택 가압류 조치는 한국기업리스, 신용보증기금에 의해서도 이뤄졌다. 1998년에는 서울 강남구청이 세금 미납을 이유로 가압류 조치를 내리기도 했다. 가압류 조치는 2000년에야 하제됐다. 상당 기간 재정난이 이어진 것.
김씨는 "빚보증을 잘못 서서 벌어진 일"이라고 해명했지만 도곡동 땅이 사실은 이명박 전 시장의 숨겨진 재산이라는 의혹, 심지어 김씨가 보유한 부동산 전체가 사실은 이 전 시장의 차명재산이라는 주장은 그래서 제기된다.
이에 대해 이 전 시장측은 김씨의 부동산 거래는 개인적 문제로 이 전 시장과는 무관하다고 주장했다.
박형준 캠프 대변인은 "이 문제는 이 전 시장과는 무관하므로 캠프에서 해명할 이유가 없다"면서 "그럼에도 불구하고 김씨의 부동산 관련 자료 목록을 당 검증위에 제출해 충분히 해명되도록 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사인의 부동산거래 정보가 공개된 것과 이 전 시장과 연계돼 있다는 식의 의혹을 제기한 것은 큰 문제"라며 "김씨측에서 강력한 법적 대응에 나설 것으로 안다"고 덧붙였다.
반면 박근혜 전 대표측 김재원 대변인은 "이 전 시장이 '간디식'으로 (검증공세에 대해) 무대응하겠다고 말했는데 간디가 땅을 많이 샀는지 모르겠다"면서 "김씨와 관련된 재산목록을 검증위에 제출해 하루빨리 검증받아야 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