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도땅 해명하라" vs "단순히 형 도와준 것"
한나라당 박근혜 전 대표측이 이명박 전 서울시장 관련 부동산 의혹 해명을 거듭 촉구하고 나서자 이 전 시장 측은 선관위에 홍사덕 선대위원장에 대한 조사요청서를 제출하는 등 양측이 정면충돌하고 있다.
박 전 대표 측 홍사덕 선대위원장은 도곡동 땅 매각대금의 사용처와 관련해 "땅 주인이 직접 소명해야 한다"면서 이 전 시장 측을 거듭 압박했다.
유승민 의원은 "이명박 후보가 지난 93년에서 95년 신고한 재산 공개 내역에서 모두 62억여원이 누락됐다"며 해명을 촉구했다.
유 의원은 "당시 재산공개 내역은 누구나 볼 수 있는 국회공보에 나와 있다"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 "이는 명백한 공직자윤리법위반이다. 자금이 어디로 은닉됐는지 검증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유 의원이 주장한 3건의 부동산은 93년 서울변호사회에 매각한 서초동 1718-1번지 땅(692.6㎡)과 1718-2번지 땅(862㎡), 94년 대부기공(현 다스)에 매각한 양재동 14-11번지 양재빌딩, 93년 도모씨 명의로 등기이전한 80평형 압구정동 현대아파트 등이다. 유 의원은 "양재빌딩의 경우 큰형과 처남이 대주주인 다스에 판 것이기 때문에 위장매각, 명의신탁인지도 검증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에 대해 이 전 시장측 박형준 대변인은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이번 허위폭로에는 정치적 책임을 져야 할 것"이라며 조목조목 반박했다. 박 대변인은 "서초동 땅 매각대금 60억원중 31억여원을 양도소득세로 냈고, 양재빌딩 매각대금 15억원은 양도소득세(3억여원), 동아시아연구원재단기금 출연(3억원), 예금 및 보증금반환에 사용했다"고 해명했다. 박 대변인 "압구정동 아파트는 92년 하반기 이미 매물로 내놓아 신고대상이 아니다"고 밝혔다.
박 전 대표측 김재원 대변인은 언론보도를 근거로 이 전 시장의 큰형 이상은씨가 보유한 제주도땅에 대해서도 해명을 요구했다.
박 전 대표 측 김재원 대변인도 "부패의 그림자가 정권교체의 희망을 물거품으로 만들고 있다"며 "이 전 시장이 직접 부동산 관련 의혹의 끝을 해명해 달라"고 촉구하기도 했다.
김 대변인은 "이 전 시장의 큰형이 제주도에까지 땅을 갖고 있다는 보도가 나왔다"며 "서울에서 제주도에 이르기까지 이 전 시장 일가의 부동산이 도대체 몇 개인지 이제는 셀 수도 없을 지경"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김 대변인은 "문제는 이 전 시장 측이 이런 의혹들에 대해 정정당당하게 적극적으로 해명하는 대신 '땅주인에게 물어보라'면서 뒷골목으로 빠지고 오히려 문제를 제기하는 언론과 같은 당 소속의원을 형사고소까지 하고 있다는 점"이라며 "이 전 시장이 진정으로 떳떳하다면 자신과 친인척 소유의 부동산을 공개하고 국민에게 진솔한 설명해야 한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
이에 대해 이 전 시장 측은 제주도땅은 이 전 시장과는 무관해 해명할 이유가 없다고 주장했다.
제주도땅 관리인에게 매달 관리비를 지급한 이상득 의원 측은 "매달 20만원에서 50만원을 준 것은 맞지만 단순히 형을 도와준 것"이라고 밝혔다.
이 전 시장 측은 박 전 대표 측의 공세에 대해 선관위에 홍사덕 위원장에 대한 조사요청서를 제출하고 홍사덕 위원장의 복당에 대해 반대입장을 분명히 했다. 또 도곡동 땅 발언과 관련해 서청원 고문에게 공개사과를 요구하는 한편, 행자부·국세청에 이어 이날은 총리실을 방문해 잇따른 부동산 보유매매 자료 유출에 대해 철저한 조사를 요구했다. 이재오 최고위원과 이방호·정종복 의원 등 11명은 한덕수 총리와 30여분간 면담했다. 면담에 앞서 이방호 의원이 총리 경호원의 뒷덜미를 잡는 등 거친 몸싸움도 벌였다. 이 최고위원은 "이 후보의 주소이전 내역이 나오는 주민등록초본은 행자부 협조 없이는 유출이 불가능하다"며 "이명박 죽이기를 넘어선 한나라당 죽이기"라고 주장했다.
한편 대검찰청은 6일 한나라당 이명박 후보의 부동산 투기 의혹과 관련한 사건들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 (최재경 부장검사)에 배당했다. 대선과 관련된 사건을 선거 전담 수사 부서인 공안부가 아닌 특수부에 맡긴 것이다. 이 후보 캠프에선 의외라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대검찰청은 이날 △이 전 시장의 처남 김재정씨가 박 전 대표측 유승민 이혜훈 의원, 서청원 상임고문과 경향신문을 명예훼손 등 혐의로 고소한 사건 △김씨가 대주주인 ㈜다스가 이혜훈 의원을 고소한 사건 △한나라당이 이 전 시장의 부동산 실제 소유 의혹 관련 자료 유출 경위를 밝혀 달라며 수사 의뢰한 사건 등 3건을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에 배당했다.
서울중앙지검 특수1부는 대형 비리 의혹 사건을 수사하는 부서여서, 수사 결과에 따라서는 한나라당 경선뿐만 아니라 대선 구도에도 영향을 미칠 것으로 보인다.
대검 홍보기획관 김경수 부장검사는 "선거법 위반 등 순수 선거 사범은 공안부에서 처리하고, 적극적인 수사로 실체적 진실을 규명할 필요가 있는 의혹 사건은 특수부에 맡김으로써 의혹이 남지 않게 하려는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나 검찰이 고소 고발 내용의 위법 여부를 가리는 데서 더 나아가 의혹 실체까지 규명하겠다고 나섬에 따라 대선 개입을 둘러싼 정치적 논란이 거셀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