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선 예비주자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측 좌장인 이재오 최고위원은 8일"국가정보원이 2005년 3월부터 9월까지 국내담당 책임자의 지휘 아래 이명박 후보 'X파일' 을 만들어 상부에 보고했다는 제보를 받았다"며 진위 여부에 대해 국정원장에게 공개질의 했다.
이 최고위원은 이날 여의도 한나라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20일 전에 제보를 받았지만 수사기관에 있는 사람이 아니기 때문에 제보의 실체에 접근하기 어려워서 담당 기관에 이런 것이 있는지 없는지, 공개 질의를 하겠다"며 이같이 말하고 김만복 국정원장의 공개 답변을 요구했다.
이 최고위원은 "김만복 국정원장은 지금까지 X파일이 없다고 하다가 얼마전 정보위원회에서 있는지 없는지, 확인해줄 수 없다고 했다"며 "그 직후에 구체적인 이름이 적시된 제보가 들어왔다. 국정원 국내담당 책임자가 지시했다는 이 X파일이 있는지 없는지 밝히라"고 촉구했다.
그는 또 "당시는 서울시 청계천 비리의혹 조사가 있었던 시기로 이명박 후보의 주변을 싹 뒤지면서 부시장이 한명 구속됐지만 결국 이 후보는 아무 관련 없는 것으로 드러났었다"면서 "국정원의 지시로 청계천 조사가 이뤄진 게 아닌지 국정원장은 밝혀야 한다"고 요구했다. 2005년 당시 검찰은 '청계천 비리의혹' 수사를 통해 양윤재 서울시 행정부시장 등 4명을 뇌물수수 혐의로 구속기소하고 2명을 불구속기소한 바 있다.
이 최고위원은 특히 제보에 등장하는 구체적인 인물의 이니셜까지 언급했다. 그는"X파일을 총괄한 당시 국내 정치담당 팀장은 P모씨고, P씨는 대구 출신의 K씨에게 지시해서 X파일을 조사하는 3-4명의 팀을 만들었다는 데, 이것이 사실이냐"고 물었다.
이 최고위원은 이와 함께"전두환 정권 당시 항공기 수입관계를 모 정보기관(안전기획부)이 조사했는데 이 과정에서 야당 유력 후보 관련 진술 내용이 정치권력에 유출됐다는 얘기가 있다"며 "이에 대해서도 국정원은 성의있게 답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이 최고위원은 이 후보 관련 의혹 수사에 본격 착수한 검찰에"정치권력의 보이지 않는 손이 움직이는 시점에서 단순 명예훼손 사건을 본질에서 벗어난 이명박 죽이기 수사로 진행해선 안된다"며 "속전속결로 수사를 끝내고 이번 기회에 정치공작 기관으로서의 오명을 벗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