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지도부가 검찰에 접수된 당내 경선 후보와 관련된 고소·고발을 모두 취하하라고 이명박 후보측과 박근혜 후보 캠프에 공식 요구했다.
강재섭 대표는 9일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검증과 관련해서 후보 캠프차원에서 수사기관이나 외부기관에 고소하고 고발한 건수를 모두 취하해야 한다"고 말했다.
강 대표는"국가기관이 당 경선이나 본선에 개입하지 않기 위해 정치공작저지투쟁위원회까지 만들었는데도 우리 스스로 검찰에 운명을 맡기는 해괴망칙한 행동이 일어났다. 우리의 운명을 검찰의 칼끝에 대고 '알아서 해주십시오' 하는 꼴"이라며 고소 취하를 강하게 요청했다.
그는 특히"캠프가 정신 나간 사람들이 모여 있는 것 같다"며 "검찰에 수사해 달라고 한 것은 우리 스스로가 바보라며 '신탁통치'를 해달라고 하는 것과 같은 얘기이며, 고양이에게 생선가게를 맡기는 것과 비슷하다"고 톤을 높였다.
김형오 원내대표도 "후보측의 실수로 감정적인 대응때문에 후보와 당의 운명을 검찰에 맡기는 꼴이 됐다"며 "당 내부적으로 일어난 고소·고발은 즉각 취하해야 한다"고 밝혔다.
안상수 공작정치 저지 범국민투쟁위원회 위원장도 최고위원회의 직전인 이날 오전 당사에서 기자회견을 열어 "검찰이 집권세력과 독립해서 공정한 수사를 할 수 없다는 것은 김대업 사건에서 충분히 봤다"며 "후보 캠프와 측근이 관련된 고소·고발을 즉시 모두 취하고 검증은 당내 검증위원회에 맡겨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 관련, 이 전 시장 측도"여러 상황을 고려하겠지만 당의 입장을 존중한다"고 밝혀 조만간 고소를 취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알려졌다. 또 검증 공방 상대방인 박근혜 전 한나라당 대표 측도 소 취하 문제에 대해 '일리가 있다'며 긍정적인 분위기로 돌아섰다.
지도부의 강력한 요청이 제기되자 이 전 시장 측 장광근 대변인은 이날 "캠프가 직접 고소를 한 것이 아니므로 (고소) 당사자의 입장을 들어보는 시간이 필요하다"면서도"당의 입장을 존중한다"고 말해 요청을 받아들일 의향을 분명히 밝혔다. 또 박 전 대표 측 이혜훈 대변인은 "공연히 수사하게 만들어 법정으로 끌고 간 것이 (이 전 시장 측에) 문제가 있었다"면서도 "소 취하는 일리가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