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민순 외교통상부 장관은 11일 "한국전쟁 종전선언은 비핵화와 평화체제 진전을 보면서 적절한 시점에 각국이 합의할 때 할 수 있다"고 말했다.
송 장관은 이날 서울 도렴동 외교부 청사에서 가진 정례브리핑에서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진전시키는 과정에서 이 정도면 어떤 선언을 할 수 있다고 할 때 관련국간 합의해서 할 수 있다"면서 이같이 밝혔다.
송 장관은 남북 정상회담 가능성에 대해 "비핵화와 평화체제를 구축해 가는 과정에서 필요하다면 관련국들 사이에서 다양한 차원의 회담은 항상 가능하다"면서 "그러나 그런 상황이 조성돼야 하고 관련국간 합의가 있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을 위해 당사국으로서 구체적인 복안을 가지고 있다"면서도 "그러나 관련국들과 우리의 복안에 대해 협의해 이를 구체화시키는 행동의 문제가 있다"고 덧붙였다.
송 장관은 내주 재개되는 6자회담에 대해 "(2.13합의에서 규정한) 초기단계 이후의 다음단계에 어떤 조치를 취할까에 대해 논의해야 하고 특히 북한측의 핵신고 문제, 불능화 관련 조치, 에너지(중유 95만t 상당) 지원하는 문제, 관계정상화 필요조치 등을 논의할 것"이라고 말했다.
송 장관은 또 6자 외교장관회담에 언급, "이번에 6자 수석대표들이 모여서 논의할 계획이지만 7월말이나 8월초에 열린다는 등 일정이 정해져 있지 않다"면서 "일정을 맞추는 작업을 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어 "6자 장관들이 정치적 추동력 차원에서 장관회담이 필요하다는데 동의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송 장관은 북핵 불능화 및 폐기 등 향후 절차 이행에 소요될 기술적인 비용 부담 문제에 대해 "(비용이 크건 작건)관련국들이 분담한다는 원칙이 6자회담의 과정에 포함돼 있다"고 밝히고 "우리가 보낸 중유 5만t이 도착하는 14일쯤이면 국제원자력기구(IAEA) 감시·검증단도 북한에 도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