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中국방부 "중국의 對北 입장 변함 없다"…'한반도 유사시 中원조 불가론' 관련

강철규 기자  2014.12.26 11:57:32

기사프린트

[시사뉴스 강철규 기자] 최근 중국 전직 고위 장성이 "한반도에서 전쟁이 일어나도 중국은 북한을 원조할 필요가 없다"고 밝힌 가운데 중국군 당국이 이와 관련해 "북한에 대한 중국 정부의 기존 입장에는 변화가 없다"고 밝혔다.

25일 중국 국방부에 따르면 양위쥔(楊宇軍) 대변인은 이날 열린 올해 마지막 정례브리핑에서 왕훙광(王洪光) 전 난징(南京)군구 부사령관의 기고문에 관련, 당국의 공식 입장을 확인하는 질문에 "북·중 우호관계 발전에 관련된 중국 정부의 입장은 매우 명확하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중국군 내 대표적 매파로 알려진 왕 전 부사령관은 지난 1일 환추스바오(環球時報)에 게재한 기고문에서 "한반도에 전쟁이 발생했을 경우 중국이 개입할 필요가 없다"는 주장을 펴 관심을 끌고 있다.

그는 "중국과 북한 사이에는 사회주의 정당 간 동지 관계가 아니라 국가 이익에 따른 관계가 존재할 뿐이라면서 "북한이 붕괴할 때 중국이 구할 수는 없으며 중국인이 북한을 위해 싸울 필요가 없다"고 주장했다.

중국 정부가 밝힌 북·중 관계에 입장은 '군사적 군사동맹'이 아닌 '전통적인 우호 관계'이다.

중국과 북한이 맺은 1961년 '조중우호협력상호조약'에 '한 국가가 침략받을 경우 군사적으로 자동 개입한다'는 조항이 포함돼 있지만 지난 2006년 북한이 1차 핵 실험을 진행한 이후 중국 내에서는 관련 조항을 수정할 필요가 있고, '명분 없는 참전'은 중국 내외에서 이해를 얻어내기 어렵다는 주장이 제기돼 왔다.

아울러 중국 외교부는 "어떤 국가와도 군사동맹을 맺지 않는 것이 중국의 가장 중요한 외교 원칙 중 하나"라고 역설하면서 북핵에 관련해서는 "한반도 비핵화, 한반도 평화 안정, 6자회담을 통한 해결"이 기본 입장이라고 밝혀왔다.

한편 양 대변인은 최근 국제적 이슈가 된 '소니 해킹 사건'에 관련해서는 "해당 문제는 군사적 문제 범주에 속하지 않아 답변하기 어렵다"면서 언급을 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