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익과 토플 등 해외개발 영어시험을 대체하는 국가주도의 영어능력 평가시험이 오는 2009년 하반기부터 실시된다.
교육인적자원부는 30일 학생용 영어능력 평가시험을 2009년 하반기부터, 일반용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2011년부터 각각 시행하는 내용의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 도입 계획'을 발표했다.
국가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말하기와 듣기, 읽기, 쓰기 등 네 영역으로 구성되며 동영상 등 다양한 자료로 활용하고 채점의 용이성을 감안해 시험은 인터넷상에서 치러질 것으로 보인다.
교육부는 이와 관련 올해 안에 한국교육과정평가원 산하에 재단 설립준비위원회와 설립준비단을 구성해 '한국영어능력평가재단(가칭)'을 설립할 계획이다.
영어능력 평가시험 개발 및 시행을 담당할 한국영어능력평가재단은 응시료 수입 등으로 독립채산제로 운영된다.
교육부는 이와관련 "국내개발 민간영어시험이 자생력을 갖추도록 유도했으나 해외개발 시럼을 대체라는데 한계가 있다"며 "해외개발영어시험에 대한 과다한 의존도를 낮추고 학교 영어교육의 방향에 대해 바람직한 기준을 제시하기 위한 것"이라고 설명했다.
현재 영어능력 평가시험은 고교 및 대학진학, 대학의 학점 인정 및 졸업요건 공무원 임용, 공·사기업 취업 및 승진 등의 용도로 수요가 매년 급증하고 있으나 토익·토플 등 해외개발 시험 의존도가 과도하게 높은 상황이다. 또 초·중등학생들의 경우 영어실력 측정을 위해 전체 응시자의 21%인 56만명이 영어시험을 봤지만 이들을 위한 별도의 영어시험이 존재하지 않아 부작용이 나타나는 것으로 조사됐다.
한편 국내영어평가시험은 ▲고교.대학 진학 ▲대학의 학점인정 졸업요건 ▲공무원임용 자격증 취득 ▲공.사기업 승진 등 수요가 급증해 지난 1996년 기준 연간 약 269만명이 응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