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질설에 시달려온 김성호 법무부 장관이 청와대에 '사임' 의사를 밝힌 것으로 6일 확인됐다.
김 장관은 이날 오전 긴급 간부회의를 열어 "'지난달 대통령을 만나 사의를 표명했다'고 말했다"고 홍만표 법무부 홍보관리관이 전했다. 홍 홍보관리관은 "김 장관은 최근 언론에 장관 본인의 거취에 대한 보도가 잇따르자 인사권자에 대한 부담을 덜기 위해 사의를 표명했다"고 덧붙였다.
김 장관은 지난해 취임 후 참여정부의 노선과 반대되는 입장을 보여 청와대와 심각한 갈등을 빚어왔다. 김 장관은 분식회계를 자진 신고하는 기업들에 대해 형사처벌을 면제해야 한다는 의견을 밝히는 등 친기업적 발언 등으로 청와대의 '심기' 를 몇 차례 건드렸다. 또 지난달 11일에는 국회에서 "공직선거법의 공무원 선거중립 의무 조항이 위헌이라고 생각하지 않는다"고 답변, 이 문제로 헌법소원까지 제기한 노무현 대통령과 인식 차이를 분명히 드러내 경질설이 끊이지 않았다. 이에 따라 김 장관의 사의 표명은 청와대의 직.간접적인 퇴진 압력에 의한 것으로 풀이된다.
이와 관련,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김 장관이 지난달말 노무현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사실을 확인하며 이같이 말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도 "김 장관의 사의는 수용될 가능성이 높다"며 "청문회 절차 등을 감안해 최대한 이른 시일안으로 후임 인선 절차를 매듭지을 방침"이라고 말했다. 이에 따라 9일로 예정된 인사추천위원회의에서 후임 법무장관을 3배수로 압축해 보고, 노무현 대통령의 재가를 거쳐 최종 후보를 지명할 것으로 전망된다. 후임 법무장관에는 정성진(66) 국가청렴위원장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다. 또 다른 3배수 후보로는 임승관 전 대검차장과 윤종남 전 서울남부지검장이 거론되고 있다.
한편 한나라당은 김성호 법무장관이 사임 의사를 공식 확인한데 대해 "자발적 사의 표명으로 보기 어렵다"며 "대통령이 결국 대선 개입의 신호탄을 올린 것"이라고 강조했다.
나경원 대변인은 이날 오전 논평을 통해 "청와대의 압력에 의해 하는 수없이 사의를 표명한 것으로 보인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 "공정한 대선, 올바른 민주주의를 위해 한나라당은 결코 '코드장관' 을 받아들일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