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靑, "피랍자 책임 있으면 구상권 행사 시사"

김부삼 기자  2007.08.30 16:08:08

기사프린트

탈레반 무장세력에 의해 억류됐다가 40여일 만에 아프간 피랍자들이 속속 석방되고 있는 가운데 정부의 만류에도 불구, 아프간으로 굳이 봉사활동을 떠난 피랍자들에 대한 책임론이 불거지고 있다.
청와대는 석방되는 아프간 피랍자 19명에 대해 "책임질 일이 있으면 책임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밝혀 구상권 행사 등 책임을 물을 방침임을 시사했다.
천호선 청와대 대변인은 30일 정례브리핑에서 '피랍자들에게 구상권 행사를 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대해 "지금 그 이야기는 너무 빠른 것 같다. 안전하게 돌아온 이후 할 이야기"라면서도 "관련 당사자들이 책임질 일이 있다면 책임지는 것이 당연하다고 보지만 최종적으로 결정한 바는 없다"고 밝혔다.
피랍자들의 현 상태와 관련 그는 "이제는 안전하다고 판단한다"며 "언제 다 나오는지는 물론 현지 사정이 유동적이어서 시간은 확정할 수 없지만, 예상을 하면 나머지 피랍자 7명도 오늘 오후 석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오늘 나머지 7명이 풀려나면 내일 이미 나온 12명과 함께 한꺼번에 두바이로 이동시킨다는 방침이다. 오늘 7명이 풀려나지 않으면 내일 한꺼번에 이동시키는 것도 차질이 생길 전망이다.
이들은 이르면 토요일인 1일 대한항공편으로 귀국길에 올라 일요일인 2일 새벽 인천공항에 도착할 예정이다.
천 대변인은 "피랍사태의 원인을 놓고 '테러와의 전쟁' 동참 자체가 화를 불러 일으켰다는 지적이 있지만, 피랍 사건이 아프간 파병 때문에 발생했다는 것은 무리한 주장이라고 본다"고 말했다.
그는 "파병국이 아닌 인도 국민도 피랍됐었다"며 "미국 등으로부터 받은 (석방협상 관련)지원은 동의·다산 부대 파병으로부터 비롯된 것도 있다"며 "아프간 주민과 국가도 우리 파병에 고마워했었다. 파병 자체에 찬반이 있고 관련성을 짚을 수도 있지만 이번 사태의 원인이라고 단정하는 것은 정확한 접근 태도가 아니다"며 정부 책임론에 반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