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우동석 기자] 서울시가 세입자를 구하지 못해 비어있는 민간주택을 주변 시세보다 10% 이상 싸게 공급하는 '공가 임대주택'을 4월 선보인다.
22일 서울시에 따르면 공가 임대주택은 2018년까지 공급예정인 임대주택 8만가구의 새로운 유형이다. 올해 3000가구를 시작으로 2018년까지 총 1만1000가구가 공급된다.
서울시는 주택 매물에 대한 신청을 받아 부동산 포털 등을 통한 홍보, 부동산 중개수수료 등을 지원해준다. 임대인은 임대료를 주변 시세의 90% 이하로 낮춰 공급한다.
부동산 중개수수료 지원액은 임대인과 임차인 각각 최대 25만원 이내, 총 50만원까지다.
공가 민간주택 신청접수는 이달 말부터 25개 자치구 주택부서에서 맡는다.
대상물건은 전용면적 85㎡이하다. 전세가 기준 2억5000만원 이하의 모든 주택(다가구, 다세대, 아파트, 연립 등)과 주거용 오피스텔의 경우 임대주택으로 등록된 물건이 대상이다.
월임대료가 있는 물건의 가격은 보증금과 임대료 전환율 6%로 산정한다.
각 자치구는 신청 접수를 받아 한국감정원 임대료 검증시스템으로 물건가격이 시세의 90% 이하인지 확인한다. 이후 가격이 높게 신청된 경우에는 임대인과 조정 절차를 거쳐 시와 업무협약을 맺고 네이버, 부동산114 포털에 등재하게 된다.
공가 임대주택 입주를 원하는 시민은 4월부터 부동산114 등 포털에서 '서울시 부동산 중개수수료 지원'이라고 표시된 주택을 찾으면 된다.
진희선 서울시 주택건축국장은 "공가 임대주택은 적은 예산으로 임대인과 임차인 모두에게 혜택을 줄 수 있는 사업"이라며 "전월세가격이 연일 상승하고 있는 상황에서 공가 임대주택이 서민주거안정에 조금이라도 기여하길 기대한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