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대권 출사표를 던진 문국현 전 유한킴벌리 사장이 마의 5%지지율을 넘을 수 있을까?
현재 여론조사에서 3%대의 지지율을 받으며 '범여권 대안 후보'로 주목받고 있지만 문 전 사장이 마의 '5% 지지율'을 넘을 수 있을 지에는 물음표가 찍혀있다.
한나라당의 이명박 대통령 후보를 제외하곤 범여권 내에서 손학규 전 경기지사 이외엔 완전하게 5%대의 지지율을 돌파한 후보가 없기 때문이다.
문 전 사장은 지난 8일 각종 여론조사 기관에서 실시한 조사결과, 3.6~3.3%의 지지율로 전체 대선주자 중에서 3~5위를 차지했다. 그런 탓인지 문 전 사장은 10일 기자간담회를 갖고 "10일 정도에 1%를 생각했는데, 지금 3.5%로 두 배 이상 가기 때문에 5%에 빠른 속도로 다다를 것"이라고 전망한 바 있다.
문 전 사장처럼 기업 CEO 출신이면서 그를 지원하고 있는 대통합민주신당 이계안 의원은 한 언론과의 인터뷰에서 "지지율 10%를 돌파하면 대통합민주신당 143명이 백기투항할 것"이라며 "만약 대통합민주신당과 민주당 후보와의 지지율이 비슷하다면 후보 단일화 과정을 밟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그러나 정치권에선 이들의 견해와 달리 문 전 사장의 '5% 지지율' 극복에 대해 회의적인 시각이 많다. 문 전 사장에 대한 지지세가 부족할 뿐만 아니라 현실정치에 있어서 그의 '정치력'이 검증되지 않았다는 것이다.
한 정치컨설팅 업체의 관계자는 13일 "문 전 사장의 지지율은 5%가 최대일 것"이라면서 "지금 보여주는 3%대 지지율은 일부 언론사들의 띄우기에 의해 이뤄진 것이지 문 전 사장 스스로가 만들어낸 게 아니다. 때문에 5% 이상의 지지율 돌파의 관건은 문 전 사장이 지지세를 끌어 모으는 '정치력'을 보여주느냐 여부"라고 말했다.
이와 관련 올해 초 일부 언론에서의 전략적 띄우기에 의해 급부상 됐던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도 '정치력'의 한계를 극복하지 못한 채 3~5%대의 지지율을 기록하는데 그치면서 결국 낙마하고 말았다.
관록의 고건 전 총리도 낙마한 것은 마찬가지다. 범여권 주자로서 생명력을 질기게 이어가리란 여간 어려운 것이 아닌 현실. 한나라당을 탈당해 재야주자로 활동했던 손 전 지사도 결국 틀안에서 살아남겠다며 민주신당에 합류했을 정도.
이 관계자는 "문 전 사장이 대통령감으로서 (국정에 있어서) 전반적인 콘텐츠를 보여줘야 하는데, 지금은 한나라당 이 후보에 대한 맞춤형 후보로서 경제적인 분야 이외엔 더 이상의 콘텐츠는 아무것도 보여주고 있지 못하다"고 지적했다. 또 다른 컨설팅업체의 관계자는 "현재 후보들의 지지율을 분석해 보면 산술적으로 문 전 사장의 최대 지지율은 5%~10%"라고 전망했다.《자세한 내용은 시사뉴스 '창간19주년' 통권 315호(9월19일 발행)에서 이어집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