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대통령은 4일 "서해평화협력 특별지대가 이번 정상회담의 핵심"이라며 "해주지역의 특별지대 설정은 개성과 인천 관계에 있어 큰 경제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2박3일간 남북 정상회담을 마친 후 남측 출입사무소(CIQ)에서 귀국보고 회견을 갖고 이같이 밝혔다.
노 대통령은 "남북은 서해안의 우발적 충돌을 막고, 군사적 신뢰를 구축하기 위해 다음달 국방장관 협의를 개최키로 했다"고 설명했다.
노 대통령은 또 "이번 합의가 경협 수준을 한차원 높여 경제활동 영역을 넓히는 계기가 될 것"이라며 "경협이 평화를 구축하고, 평화가 경협을 뒷받침하는 선순환 구조가 만들어질 것"이라고 내다봤다.
노 대통령은 또 "각종 경협 사안들도 정상간 회담에서 이례적으로 합의가 됐다"면서 "경협에 대한 합의와 새로운 문제 해결을 위해서 부총리급 공동위원회를 운영하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이어 "공동위원회는 새 사업의 제안과 합의를 계속 이뤄나갈 수 있는 토대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고 덧붙였다.
김 위원장의 '서울 답방'과 관련, 노 대통령은 "이번 회담에서 요청했지만 김 위원장은 우선 김영남 최고인민회의 위원장의 서울 방문을 제안하면서 본인의 방문은 여건이 성숙할 때까지 미루는 게 좋겠다고 했다"고 전했다.
한편 노 대통령은 납북자 문제에 대해 "이번 회담에서 합의를 이뤄내지 못했다"고 전제한 뒤 "많은 대화를 했다. 이것이 다음에 이 문제를 푸는데 밑거름이 됐으면 하는 바람"이라며 "해결하지 못해 국민께 죄송하게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2007 남북정상선언'과 관련, "다음 정부에 부담을 주는 공동선언이 아니라 다음 정부가 남북관계를 잘 풀어가고 한반도 평화와 공동번영을 잘 할 수 있도록 토대를 만들어 주는 선언"이라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정치권의 '대선 영향론' 주장을 겨냥, "(이번 10.4 합의가) 특정정당이나 후보에게 불리할 것도, 유리할 것도 없다고 본다"면서 "후보의 전략 자체가 유불리를 가르는 것이지 이 합의가 누구에게 유불리한 것은 아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