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홍보처가 기자실 인터넷을 차단한 데 이어 12일에는 총리실 등 11개 부처 기사 송고실의 출입문을 잠그는 등 기자들의 출입 봉쇄 조치를 단행하자 각 부처 출입기자들이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의 사퇴를 촉구하는 등 강력히 반발하고 나서 사태가 악화되고 있다.
홍보처는 예고대로 이날 세종로 정부중앙청사 10층의 총리실 기사 송고실과 5층의 통일부, 교육부, 행정자치부 등 각 부처 기자실에는 "더 이상 이곳에 기사 송고실을 운영하지 않는다"는 안내문이 나붙었다. 국정홍보처는 기존 기자실에 전기를 차단하고 출입문에 자물쇠를 새로 설치하거나 이중 잠금 장치를 달아 기자들의 출입을 원천봉쇄 했다.
이에 맞서 청사 곳곳에서는 기자들의 항의가 잇따르고 복도 바닥에 기자들이 주저앉아 기사를 작성하는 진풍경이 벌어졌다. 특히 외교부 기자들은 기자실 밖 복도에 스티로폼을 깔고 기자를 작성하는 등 통합 브리핑실로의 이전을 거부한 채 단체행동을 하기로 했으며, 교육부 기자단은 타 부처 기자들과 연합해 릴레이 시위를 하는 방안을 검토키로 했다. 또 기자들의 반발로 통합 브리핑룸에서는 브리핑도 이뤄지지 않았다.
이에 따라 언론노조와 기자협회 취재환경개선특위도 정부의 취재통제조치를 막기위해 연대할 움직임을 보이는 파문이 확산되고 있다.
박상범 한국기자협회 취재환경개선특위 위원장은 "정보공개법 개정 등 취재지원을 위한 정부 조치가 어느 것도 이루어진 게 없다"며 "기자실 폐쇄는 언론에 대한 물리적 폭력"이라며 교육인적자원부, 통일부, 외교통상부, 국세청, 정통부 등 5개부처 출입 기자단 간사들과 긴급 대책 회의를 열고 홍보처의 기자실 폐쇄 조치에 항의하는 성명을 발표했다.
이날 성명에서"정부가 기사 송고실 강제 폐쇄라는 전대 미문의 언론탄압행위를 자행하고 있다"며 "기자들은 한국언론노조 등 유관단체들과 연대해 취재 자유가 확보되는 순간까지 일체 흔들림없이 강력하게 저항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특위는 또"취재 자유를 봉쇄하는데 가장 큰 책임이 있는 김창호 국정홍보처장은 즉각 사퇴하라"고 요구한 뒤 정부측에 대해서도"즉각 기사송고실 문을 열고 기자들의 정상적 취재를 보장하라"고 촉구했다.
한편 한나라당도 이날 국정홍보처의 기자실 폐쇄 조치를 강력히 비난하며 즉각 철회를 요구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열린 주요당직자 회의에서 "정부부처 기자실은 부패를 막고 감시하라고 국민이 언론에 제공한 것이지 정부가 자기들 돈으로 제공한 것이 아니다"며 "국민 돈으로 제공한 것을 마음대로 폐쇄한 것은 국민 뜻에 반하는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는 이어"정권을 비판하는 언론에 이런 조치를 취하는 것은 독재국가에서나 볼 수 있는 전형적 모습"이라며 "노무현 정권이 독재정권으로 가려는 건지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