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盧대통령, "北비핵화 평화협정 동시 추진"

김부삼 기자  2007.11.03 10:11:11

기사프린트

노무현 대통령은 한반도 평화체제 협상과 북한의 핵 폐기는 동시에 진행될수 있다는 뜻을 밝혔다고 아사히신문이 3일 보도했다.
노 대통령은 2일 청와대에서 아사히신문과의 인터뷰을 갖고 "당연히 핵을 포기하는 것을 전제로 종전선언과 평화선언이 이뤄지는 것이지만, 핵 폐기에는 실질적으로 긴 시간이 걸리는데 그 시간을 기다려 실제적으로 핵 폐기가 다 끝나고 난 다음에 평화체제에 관한 절차를 시작한다는 것은 비현실적"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북한의 핵 보유와 관련, "한국 정부가 북한의 핵무기를 용납할 가능성은 없다"며 "우리 국민들은 그런 것을 절대로 납득할 수 없고 북한의 군사력 자체에 알레르기를 갖고 있다"고 일축했다.
노 대통령은 북한이 시리아에 핵 기술을 이전했다는 미국내 보도에 대해서는 "나는 그 사실에 대해 알지 못한다. 증거도 본 적 없고 설명도 들은 적 없다"며 "불확실한 문제와 사소한 장애로 6자회담을 파탄시켜서는 안된다"고 강조했다.
노 대통령은 대북 경제지원과 6자회담 비핵화 프로세스의 관계에 대해 "대북지원을 계속하면 6자회담도 잘 풀리게 돼 있다"고 한마디로 정리했다.
노 대통령은 지난달 초의 남북정상회담 과정에서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은 개혁 개방에 대해 직접 '그런말 쓰지 말라'고 한 적은 없고, 다만 '개성공단을 정치적 선전으로 이용이나 하고, 우리는 득 본 것이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노 대통령은 "북핵 문제의 핵심은 '위험에 대한 쌍방의 착오'에서 비롯됐다"며 "미국은 북한이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위험한 상대도 아니고, 북한 또한 미국이 생각하는 것만큼 그렇게 위험한 상대가 아니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그런데 때때로 드는 의문은 누군가가 이런 착오를 자꾸 만드는 것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든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한일간의 현안으로 야스쿠니신사와 역사교과서, 독도, 해저지명 문제를 제시하고 "후쿠다 야스오 총리는 책임감을 갖고 대중적 인기에 영합하지 않고 이를 다뤄줄 것이라고 기대한다"며 "이런 기회를 살리기 위해 일본을 방문하고 싶었지만 (11월 21일 아세안+3 정상회의가 개최되는)싱가포르에서 만날 수밖에 없어 유감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또 중일관계에 대해서도 "중일간의 적대관계는 한국에 있어서는 부담이 된다. 서로 경계하고 군비를 확장하는 관계를 변화시키려 노력하지 않고 있다. 우리도 불안하고 과거 역사에 민감히 반응할 수밖에 없다"고 지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