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정홍원 국무총리는 29일“총리실은 단순히 정책을 추진하면서 거쳐 가는 정거장이 아니라 주도적으로 조율하고 끌고 가는 기관차 역할을 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 총리는 이날 오후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긴급간부회의에서 “어제와는 완전히 다른 총리실을 만든다는 각오로 심기일전해 변화와 혁신 선도해 달라”며 이같이 말했다.
정 총리는“세월호 사고 등으로 지연된 업무들이 정상궤도로 돌아올 때까지 총리실은 1시간 더 근무해 이를 만회하겠다는 자세로 임해 달라”고 주문했다.
정 총리는 “나는 무엇보다 진도 앞바다에 남아있는 실종자 11명 모두가 가족의 품으로 돌아올 수 있도록 마지막까지 최선을 다하겠다”며 “실종자 가족들과 총리실 간 핫라인을 만들어 제가 진도에 없는 시간에도 마음을 항상 가족들과 함께 하면서 가족들의 고충을 해소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어 “4월16일을 대한민국 국민들이 영원히 잊지 않도록 하고 다시는 이와 같은 일이 재발하지 않도록 모든 장치를 만들어 무고한 희생자들의 희생이 헛되지 않도록 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그는 “4월16일을 ‘국민안전의 날’로 지정하고 팽목항을 영원히 기억될 수 있는 곳으로 만들어 각종 추모·기원 행사와 안전체험 활동 등을 통해 안전의식을 높여 나갈 것”이라며“또 ‘국민안전 기념관’ 건립을 추진해 희생된 분들이 대한민국을 변혁시켰다는 역사적 의미가 영원히 기억되도록 하고자 한다”고 말했다.
아울러 “희생자 가족들과 생존자들이 트라우마에서 벗어나 정상적인 삶을 영위할 수 있도록 끝까지 지원하는 일도 결코 소홀히 하지 않겠다”며 “정부는 이러한 것들을 충실히 담아 세월호 특별법을 조속히 제정하고자 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정 총리는“세월호 사고수습 과정에서 경험하고 느낀 점을 토대로 ‘국가개조’라는 국가적·시대적 과제를 기필코 달성하고야 말 것”이라고 공언했다.
그는 “세월호 사고로 드러난 우리사회에 만연된 적폐 해소를 위한 ‘국가개조’ 과업은 한 순간도 지체할 수 없다”며 “세월호의 희생이 대한민국 대변화로 승화되도록 정부는 안전혁신, 공직개혁, 비정상의 정상화 등에 모든 역량을 쏟아 부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날 회의에서 국무총리실 실국장급 간부 27명은 3시간 넘게 토론을 진행하며 세월호 사고 이후 정책 추진 방향에 대해 논의했다. 참석자들은 국가개조를 위한 당면 현안과 비정상의 정상화, 규제개혁 등을 추진하는 과정에서 국민들이 변화를 체감하려면 공직사회부터 변해야 한다는 데 의견을 모았다.
국민의 입장, 국민의 눈높이에서 정책을 발굴․추진해야하고, 이를 위해서는 현장에서 문제를 찾고 문제를 해결하는 '현장 행정'이 모든 행정의 기본이 되고 원칙이 돼야 한다는 의견도 나왔다. 또 많은 예산이 필요한 거창한 정책, 과제 수만 많은 추진계획보다는 국민이 원하는 것, 생활 속에 느낄 수 있는 작은 정책들이 소중하다는 의견도 제시됐다.
정 총리는 이날 토론을 마무리하면서 “총리실이 한마음으로 과제선정에서부터 일하는 방식까지 달라져야 한다”며 “오늘 나온 다양한 의견들을 바탕으로 정확한 방향을 잡고 속도감 있게 국가개조와 공직개혁을 추진해 나가자”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