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등불] 기억의 형성 과정

2021.08.01 09:36:48

심리학자 에빙하우스는 실험 결과, 사람은 하루가 지나면 기억의 70%를, 한 달이 지나면 80%를 잊어버린다는 사실을 발견했습니다. 그런데 우리가 평소에 보고 들어도 기억이 전혀 없거나 흐릿하게 남는 것이 있는 반면, 오랜 세월이 지나도 확실하게 떠오르고 잊히지 않는 것도 있습니다. 이는 기억 장치에 내용을 입력하는 방법이 다르기 때문입니다.

첫째로, 무심코 흘려버리는 경우가 있습니다. 보고 듣기는 했지만 별다른 주의를 기울이지 않고 그냥 지나쳐 버리는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보겠습니다. 기차를 타고 고향에 내려갈 때 창밖으로 누렇게 곡식이 익어가는 논과 밭이 보입니다. 이때 다른 생각에 골몰해 있으면 고향에 도착했을 때 막상 무엇을 보았는지 별로 기억이 나지 않습니다. 또 학생이 수업 시간에 오락 등 잡념에 빠져 있었다면 수업이 끝난 후 무엇을 들었는지 기억이 나지 않지요.

둘째로, 담아둔 것이 있습니다.

창밖에 펼쳐진 논밭을 볼 때 부모님과 연관하여 기억해 놓을 수 있습니다. 아버지가 농사짓는 모습 등을 떠올리며 논과 밭을 보았다면 어느 정도는 기억으로 남습니다. 또 학생이 수업 시간에 선생님의 설명을 들으면서 “그런가 보다.” 하고 가볍게 담아두기만 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수업이 끝난 직후에는 그 내용을 어느 정도 기억할 수 있지만 며칠 지나면 잊어버립니다.

셋째로, 심어 놓은 것이 있습니다.

농부는 창밖으로 보이는 논밭의 곡식을 그냥 흘려버리지 않습니다. ‘여기는 우리 고향보다 농사가 잘되었구나, 저 비닐하우스는 참 튼튼하게 지었다. 나도 저렇게 해야겠다.’ 하면서 관심을 갖고 봅니다. 이렇게 주의 깊게 보고 머릿속에 잘 심은 것은 나중에 집에 돌아와서도 구체적으로 떠오릅니다.

다른 예로, 교사가 학생들에게 “이 수업이 끝나면 시험을 보겠다. 점수는 중간고사 성적에 반영된다.”라고 했습니다. 그러면 학생들이 더 집중해서 듣고 기억하려고 애를 쓰는데, 이렇게 입력한 내용은 비교적 오래 기억에 남습니다.

넷째로, 머리와 마음에 동시에 심어 놓은 경우입니다. 이는 마치 이중 장치로 문을 잠근 것처럼 단단히 새겨지지요.

어떤 사람이 슬픈 영화를 보았다고 합시다. 영화를 보면서 자신이 주인공이 되어 같이 눈물 흘리며 깊이 빠져드는 경우 기억 장치인 머리뿐 아니라 마음에도 심어집니다. 즉 뇌세포의 기억 장치에 지식으로 저장되며 마음에도 느낌으로 입력되는 것입니다. 이렇게 마음과 머리에 동시에 강하게 입력된 것은 뇌세포가 파괴되지 않는 한 기억 속에 남아 있습니다. 또 뇌세포가 파괴되어 생각을 하지 못한다 해도 마음에는 그대로 남아 있지요.

만일 어머니가 교통사고 당하는 장면을 아이가 목격했다면 얼마나 충격을 받겠습니까? 이런 경우 그 장면이 슬픈 느낌과 함께 아이의 마음에 심어집니다. 마음과 머리에 동시에 입력되었기 때문에 오랜 세월이 지나도 잊히지 않지요.

그러면 생활 속에서 필요한 정보나 지식을 머리와 마음에 동시에 담기 원한다면 어떻게 해야 할까요? 마음에서 거짓, 불의, 미움 등의 비진리를 빼내야 합니다. 이런 비진리가 잡념이 되어 집중력을 방해하기 때문입니다. 대신 진실, 사랑, 선 등의 진리로 채우는 만큼 마음을 다스리며, 아이큐나 기억력을 초월하여 지혜롭게 살아갈 수 있습니다.

“여호와를 경외함이 곧 지혜의 근본이라 그 계명을 지키는 자는 다 좋은 지각이 있나니 여호와를 찬송함이 영원히 있으리로다”(시편 111:10) 글: 만민중앙교회 당회장, GCN 방송 이사장

 

 

김부삼 kbs6145@naver.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