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자 수첩】 정치 팬덤은 죄가 없다?

2023.05.23 13:41:57

[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팬덤(fandom)’. 특정한 인물이나 분야를 열광적으로 좋아하는 사람들 또는 그러한 문화현상을 일컫는 말이다. ‘광적인 사람’이라는 뜻을 가진 ‘퍼내틱(fanatic)’의 ‘팬(fan)’과 ‘영지, 나라’를 의미하는 ‘덤(dom)’의 합성어로 유명 연예인이나 스포츠 스타를 좋아하는 사람들을 의미하는 개념이었다. 팬덤 문화는 단지 좋아하는 데 그치지 않고 관련 상품을 소비하거나, 자신을 대상과 일체화한다. 간혹 특정 팬클럽 사이에 충돌이 일어나고, 특정 연예인을 상대로 한 스토킹은 물론, 사이버테러와 같은 부정적 현상도 많아져 사회문제가 되기도 한다. 


팬덤 문화가 정치로 확장한 것은 유권자가 ‘정치 동원의 객체’에서 ‘정치를 소비하는 주체’로 나서면서다. 절차적 민주주의로 체제로 이행하기 이전 반독재 투쟁의 시기에 국민이나 시민은 정치 동원의 대상이었다. 그러다가 1987년 6월 항쟁을 계기로 정치를 소비하는 주권자의 지위를 서서히 되찾았다. 정치 팬덤이 하나의 정치 문화로 전면화한 건 ‘노무현을 사랑하는 사람들의 모임’(노사모)이라 할 수 있다. 노사모는 2000년 총선에서 노무현 당시 국회의원 후보가 부산에서 출마했다 떨어지고 ‘바보 노무현’이라는 별명을 얻으면서 결성됐다. 노사모는 노무현을 민주당 대선후보로 만든 견인차였고, 그를 대통령으로 이끈 핵심 동력이었다. 대통령 재임시절에도 노무현을 지켜낸 주역이었다. 노사모 이후 박근혜, 문재인, 유시민, 안철수, 홍준표, 이재명 등의 정치 팬덤이 속속 등장했다. 지금은 바야흐로 정치 팬덤의 전성시대다.


정치 팬덤을 보는 시각은 다양하다. 참여민주주의가 확장하면서 나타나는 필연적 산물로 신뢰를 잃은 현 정치인들의 리더십이 문제라는 시각도 있고, 정치 효능감으로 무장한 새로운 유권자의 출현은 정치 발전에 매우 긍정적인 요소라는 시각도 있다. 하지만 최근 정치 분열의 전진기지 역할을 한다는 우려가 커지고 있다. 지나친 배타성과 공격성 때문이다. 자신들이 추종하는 정치인과 적대 관계 이거나, 생각이 다른 사람들을 대한 공격성이 강하다. 마음에 들지 않는 기사를 쓴 기자들도 공격 대상이다. 유튜브, 카카오톡, 페이스북 등 SNS나 문자로 온갖 욕설을 퍼붓는다. 


최근 ‘60억 코인 의혹’으로 논란의 중심에 있는 김남국 의원이 결국 민주당을 탈당한 뒤, 김 의원을 비판한 정치인들을 상대로 민주당 강성 지지층의 공격이 극에 달하고 있다. 지난 12일 박성민 전 최고위원, 권지웅 전 비상대책위원 등 당내 젊은 정치인 8명은 ‘2021년 전당대회 돈봉투 의혹’과 ‘김남국 의원 가상자산 투기 논란’에 고개를 숙이고, 당 지도부에 “철저한 진상조사와 당사자의 단호한 조치” 등을 요구했다. 그러자 곧바로 강성 지지층의 십자포화가 시작됐다. 전화번호가 공개된 이들에겐 전화‧문자 폭탄이 쏟아졌고, 조롱과 모욕적인 댓글들이 달렸다. 강성 지지층의 거센 공격에 위축감을 느끼는 건 당연하다. 이에 대해 조응천 의원은 한 라디오에서 “이재명 대표 체제가 되고 난 이후에 당내 민주주의가 굉장히 약화됐다” 고 우려했다. 


정치 팬덤의 ‘배타성’과 ‘확증편향성’은 정치인에게 양날의 칼이다. 자신의 정치철학과 비전을 공유하고 확장해 가는 과정에서 열성 지지층의 존재는 든든한 우군이며, 정치 미래를 담보할 위력한 방식이기도 하다. 반면 “우리만 옳다”는 분파적 사고와 공격성은 정치인을 키워주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프레임에 가두고 확장을 가로막는다. 때로는 절차적 민주주의를 왜곡하고 책임성을 위협하는 반정치주의로 작동한다. 정치 이슈로 민주당내에서 다른 의견이 표출되고 이에 대한 강성지지층의 공격이 극렬해질 때마다 이재명 대표가 제어에 나서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그런데 과연 이 대표에게만 온전히 책임을 물을 수 있는지 의문이다. 국민은 지지자들을 통해 그 정치인을 본다. 부당한 정치탄압에서 자신이 지지하는 정치인을 지키는 것 못지않게 정치 발전에 기여하는 정치 팬덤 역할이 절실하다. 정치는 전쟁이 아니다. 의견이 다르다고 물리쳐야 할 적이 아니다. 

김철우 talljoon@naver.com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