행정안전부(장관 원세훈)는 정부부처의 전산자원과 웹사이트의 30%를 통․폐합하고, 나아가 수요자 중심의 통합․연계서비스 제공 등을 주요내용으로 하는 「범정부 정보자원 통합계획」을 마련, 10.7(화) 국무회의에 보고 하였다.
그동안 우리나라는 국가 정보화 촉진정책에 따라 세계 최고수준의 전자정부 선도국가에 진입하였고, 또한 대전 및 광주 정부통합전산센터를 구축하여 정부 전산장비 운영의 안정성을 확보하였으나, 기관별 정보화 추진으로 전산장비의 중복투자, 웹사이트 난립, 수요자관점에서의 서비스 단절현상 발생 등 운영상의 한계가 노출되어 범정부 차원의 정보자원 통합이 시급한 실정이다.
이번 정보자원 통합계획안은 크게 정부 전산장비 통합, 웹사이트 정비, 대국민서비스 통합으로 나뉘며 각 부처가 참여하는 정보자원통합협의체를 구성․운영하여 2009년부터 단계적으로 통합할 예정이다.
중앙부처의 전산자원은 2012년까지 30%이상 통합 또는 재조정하여 시스템 구축 및 운영비를 30%(2,895억) 절감하고, 정부 웹사이트는 2010년까지 전체수의 30%(501개→350여개)를 감축할 계획이다.
전자세금계산서시스템 등 전산자원 통합추진 원년인 2009년에는 범정부 전산자원 통합구축을 위해 34개 부처의 68개 정보화사업의 전산장비 도입예산을 각 부처와 협의를 거쳐 행정안전부(정부통합전산센터)에 429억원 규모를 일괄 편성하여 통합구축함으로써 개별구축 대비 약 30%의 예산을 절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