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용산참사' 이틀째 추모집회

김명완 기자  2009.01.22 10:01:01

기사프린트

용산참사 이틀째도 추모 촛불집회가 참사현장에서 열렸다.
'용산철거민 살인진압 범국민대책위원회'(아래 용산대책위)는 22일 오후 7시 20분 참사현장 앞에서 1천여명의 시민이 모인 가운데 추모 촛불집회를 열었다.
오후 7시로 예정됐던 이날 집회는 경찰이 차도 진입을 저지하기 위한 차벽을 설치하는 과정에서 시민단체와 실랑이를 벌였고, 간헐적으로 몸싸움이 벌어졌다.
경찰은 집회 시작 전부터 차벽 및 36개 중대 2500명의 전경을 배치해 서울역과 한강대교로 이어지는 길을 모두 막았다.
경찰은 특히 오후 7시께부터는 횡단보도의 통행마저 막아 시내버스를 이용하는 시민들이 50여미터 가량 중앙선을 통해 이동하는 불편을 초래, 거센 항의를 받기도 했다.


대책위측은 이날 집회에서 "경찰이 강경진압이 불러온 참사를 철거민들의 폭력 행위 탓으로 돌리고 있다"며 "철저한 진상규명이 이뤄지지 않을 경우 정권 퇴진 운동도 불사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날 촛불집회에는 "참사 소식을 듣고 충격이 커 견딜 수가 없어 촛불집회에 참석했다"고 말한 '난장이가 쏘아올린 작은공'의 저자 조세희 작가는 "우리의 미래가 아름답고 평화롭기를 바라며 난쏘공을 썼는데, 이 상태로는 낙원이 없다"면서 "동족을 때려죽이는 비극적인 나라에서 우리 개개인이 각성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전국철거민연합 임태순 연대사업국장은 "국립과학수사대와 경찰은 '동지들의 시신이 증거물이라 보여줄 수도 내어줄 수도 없다'며 가족에게 말한마디 없이 부검을 했다"면서 "투쟁만이 죽어서도 눈을 감지 못한 동지들에게 할 수 있는 최소한의 양심이자 의무라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행사를 마친 용산대책위는 오후 8시 10분경 거리행진을 시도했지만 경찰에 의한 차도봉쇄에 "거리 행진이 불가능하다"며 집회 종료를 선언했다.
이날 참가자들은 인도를 이용해 움직이려 했지만, 경찰은 신용산역 6번출구 이외에는 길을 모두 막아 시민들의 불편을 초래했다.
참가자들은 지하철을 이용해 300여 명이 명동성당에 집결했고, 800여 명은 명동입구에서 경찰과 대치했다.
특히, 경찰은 어제와는 다르게 명동성당 앞을 완전차단하여 집회 참가자들과 크고 작은 몸싸움이 벌어졌다.
밤 9시 20분 경부터 경찰은 명동성당의 길을 터주더니 밤 9시 40분경에는 완전히 명동성당에서 철수했다.
300여 명의 촛불집회 참가자들은 명동성당 들머리에서 마무리 집회를 열며 책임차 처벌과 이명박 대통령 퇴진을 요구했다.
마무리 집회를 끝낸 참가자들은 명동입구에서 대치하고 있는 또 다른 참가자들과 결합하여 참사 책임자 처벌을 요구했다.
촛불집회 참가자와 경찰의 대치가 1시간이 넘어가자 경찰은 해산 경고방송을 했으나 참가자들은 움직임이 보이지 않았다.
경찰의 두 번째 경고방송을 하면서 살수차를 전면 배치했고, 경찰특공대를 투입하려는 움직임이 보였다.
이날 경찰은 밤 11시경 40대 남성 1명을 연행했지만 연행 차량을 시민들이 둘러싸고 풀어주길 요구하며 강하게 항의하자 풀어주기도 했다.
경찰은 "술이 많이 취해 도와주려고 한 것일뿐 연행하려던 것이 아니다"라고 연행 사유에 대해 말했으나 이 남성은 술에 취하지 않아 또 경찰이 거짓말을 한다고 비난이 쏟아졌다.
명동집회는 자정이 넘어서면서 참가자들은 자진 해산해 전날과 달리 별다른 충돌없이 마무리 됐다.
한편, 용산대책위는 23일에 서울역 광장에서 대규모 범국민대최를 개최할 예정이라고 발표했고, 사망자들의 유족들은 순천향대병원 장례식장 4층 특실에 합동분향소를 설치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