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녹색 기반기술개발 본격 착수

남영호 기자  2010.03.16 11:03:03

기사프린트

과학기술과 교육의 융합으로 인한 서로의 장점을 살리면서 녹색기술과 관련분야 전문인력을 양성하기 위해 출연연과 대학이 힘을 모은다.

교육과학기술부는 학ㆍ연 협력을 통해 ‘27대 녹색기술’ 구현에 공통으로 기여할 기반기술개발과 융합녹색 전문인력 양성을 동시에 달성하는 ‘기반형 융합녹색연구’ 사업을 금년부터 신규 사업으로 실시한다고 밝혔다.

본 사업은 에너지ㆍ환경 분야 등 녹색기술 및 산업 분야에 공통적으로 필요한 표준기술 개발과 함께 이를 매개로 융합마인드를 갖춘 석박사급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것으로, 기존 대학-출연연 간 또는 대학-대학 간 칸막이를 허물고, 다양한 교류협력을 통해 실질적인 학연협력모델 정착시키고자 하는 개방형 융합연구라는 점에서 의미를 찾을 수 있다.

그간 전문가 검토를 통해 27대 녹색기술의 기반이 될 1,000여개의 후보기술 중 융합성, 원천성, 파급효과 등을 기준으로 에너지 하베스팅 기반기술 등 국가적 시급성이 높은 6개 중점과제를 도출하고, 금년에는 이중 우선적으로 1개 과제를 선정ㆍ지원할 예정이다.

이와 더불어, 융합녹색기술 동향, 관련 특허 및 시장 수요의 상시 모니터링을 통해 기술의 시장성ㆍ가치 분석, 발전전략 등을 자문할 ’융합녹색 전략연구기획단‘도 선정ㆍ운영할 계획이다.

본 사업은 출연연과 대학이 서로의 역할분담을 통해 기반기술 개발을 전담하는 중심기관(Hub)과 기술적 난제 수행, 인력양성을 담당하는 연계기관(Spoke)으로 융합연구단을 구성하게 되며, 2015년까지 각 연구단별 1개 이상의 원천특허를 확보하고 약 400명의 전문 융합연구인력 양성을 목표로 하고 있다.

교과부 박항식 기초연구정책관은 Hub-Spoke형 다학제 융합연구단은 1개 중심기관과 4개 연계기관으로 구성되는 국내에서 지금까지 거의 시도되지 않았던 연구체제로, 출연연과 대학 및 대학-대학 간 실질적 협력 촉진을 통해 연구개발과 인력양성의 상호 연계를 강화한다는 데 그 의미가 크다.

향후 동 사업을 통해 개발되는 녹색기술분야의 플랫폼형기술*은 로봇, 자동차, 환경감시, 신재생에너지 등 관련 산업에 다양하게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