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OECD “한국, 2020년부터 인구 준다”

김명완 기자  2010.05.20 08:05:05

기사프린트

우리나라의 인구가 앞으로 10년 뒤인 오는 2020년부터는 줄어드는 것으로 전망됐다.
20일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1950년대 이후 계속 늘어나던 한국의 인구 증가율이 오는 2020년에는 -0.02%로 처음으로 줄어드는 '마이너스 인구시대'를 맞이할 것으로 예상했다.
우리나라의 인구증가율은 1970년 2.21%에 달했고, 1980년 1.57% 로 떨어진 뒤 1990년 0.99%로 줄었다. 이어 2000년 0.84%, 2005년 0.21% 등으로 계속해서 증가율이 둔해지고 있다.
OECD의 전망을 보면 올해의 경우 0.26%로 증가율이 다소 증가하고 있지만 오는 2015년 0.1%로 떨어진 뒤 2025년 -0.12%, 2030년 -0.25% 등으로 감속을 예상했다.
특히, OECD는 오는 2020년에 G20 국가들 가운데 러시아와 일본, 독일, 이탈리아, 한국 등 5개 나라만이 인구가 감소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지난 1970년 우리나라의 인구증가율이 2.21%로 남아프리카 공화국의 2.63%나 중국의 2.59%, 터키의 2.54%, 브라질 2.51%, 인도네시아의 2.39%에 이서 G20 국가 가운데 6번째로 높았던 것과 비교하면 우리나라의 인구증가율 감소는 차이가 크다.
또 우리나라의 70년과 2030년의 인구증가율 차이는 -2.46%p로 중국의 -2.49%p 에 이어 인구감소폭이 G20 국가 가운데 가장 큰 두 번째 나라가 된다.
인구감소는 경제활동인구의 감소, 노동력 부족으로 국가경쟁력에도 영향을 미친다는 분석이다. 독일, 일본 등 선진국의 인구감소에 비해 우리나라의 인구감소는 사회·경제적으로 훨씬 타격이 심각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이에 따라 정부는 인구 감소를 막기 위한 2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을 오는 8월∼9월 쯤에 발표한다는 목표를 가지고 있지만 뚜렷한 대책마련은 없는 것으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