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아직도 정신 못차린 해군

해군 간부들 림팩훈련 기간 중 ‘하와이 관광’ … ‘천안함 사태’ 긴장국면 적절치 못한 행동

김정호,김명완 기자  2010.06.04 20:54:00

기사프린트

환태평양 합동군사연습인 림팩(RIMPAC)훈련 참가를 위해 미국 하와이에 파견중인 해군 간부들이 현지에서 가족을 동반해 관광을 즐긴 것으로 확인돼 물의를 빚고 있다.


4일 해군과 현지 소식통에 따르면 하와이에 정박중인 7,600톤급 세종대왕함 승선 장교 2명과 부사관·준사관 28명 등 30명은 국내에서 간 부인, 자녀 등 가족 51명과 함께 지난달 22일부터 4박 5일 동안 하와이의 관광지 와이키키 해변과 하나우마베이 등을 다니며 쇼핑과 여행, 해양 스포츠 등을 즐긴 것으로 알려졌다.


세종대왕함은 다음달 초 열리는 림팩 훈련에 대비해 지난 1일부터 태평양상에서 무기체계와 작전수행 성능을 검증하는 종합 전투능력 평가를 준비하기 위해 지난달 12일 하와이에 도착했다.  


이에 대해 해군 관계자는 “당초 세종대왕함은 7월 초부터 40여일 동안 림팩훈련을 마치고 9월 초 귀국예정이었으나 이번에는 세종대왕함의 성능시험을 위해 5월 초에 조기에 투입되면서 파견 기간이 당초 두 달에서 네 달로 늘어났다”면서 “가족들과 오랜 기간 떨어져 있게 된 장병들의 사기 진작을 위해 주말을 이용해 간부들의 외출을 허용한 것”이라고 해명했다.


또한 해군은 천안함 사태에 따른 군 전력 정비와 전투준비태세 강화를 위해 이달 말까지 ‘필승50일 작전’을 진행중이라고 전했다.


한편, 가족들은 1인당 300만원 상당의 여행 상품을 자비로 구입해 해군의 출장 일정에 맞춰 현지에서 장병들과 합류한 것으로 확인됐지만 현재 천안함 사태로 인한 긴장감이 도는 한반도의 사정으로 따져보면 이번 해군장교의 행동은 적절하지 않았다는 지적이 나오고 있다.


이러한 지적과 함께 정치권도 논평을 통해 해군을 질타했다.


민주노동당은 논평에서 “장례기간 중 상복을 입고 관광을 다닌 것과 다름없는 국민 배신행위라 하지 않을 수 없다”며  “안 되는 일이 벌어진 것인 만큼 관련자 전원과 책임자를 엄히 문책해야 마땅하다”고 촉구했다.


민주노동당은 “해군 간부의 이러한 안일한 태도는 해군 역사상 최악의 사건으로 기록될 비극적 사건이 벌어졌음에도 그 누구도 책임지지 않는 현 정권의 태도에 그 책임이 있다”며 “국가안보와 위기대응의 구멍이 만천하에 드러났음에도 국군통수권자인 대통령도, 국방부장관도, 합참의장도 누구 하나 책임의식을 보여주는 사람이 없다”고 강하게 질타했다.


자유선진당도 논평에서 “우리 군의 기강해이를 바로 잡지 않으면 국가안보는 없다”면서 “국가안보는 말로 되는 것이 아니기에 군이 철저하게 다시 태어나야 한다”고 지적했다.


림팩(RIMPAC, Rim of the Pacific Exercise)은 유사시 태평양상의 중요 해상 교통로의 안전을 확보하고, 태평양 연안국 해군간의 연합작전 능력을 강화하기 위해 1990년부터 미국을 중심으로 2년마다 실시되고 있는 다국적 해군 연합기동훈련으로, 환태평양군사훈련이라고도 한다.


훈련은 미국 서해안에서 하와이에 이르는 해역에서 실시되는데, 1990년 훈련 당시에는 한국을 비롯해 미국·일본·영국·캐나다·오스트레일리아 등 6개국 해군이 참가하였다. 당시에는 소련의 태평양 함대를 겨냥해 유사시 해상 수송로를 보호하는 데 목적이 있었다. 그러나 현재는 미국이 아시아를 군사적 충돌 가능성이 가장 높은 지역으로 평가하고 중국의 군사대국화 가능성에 경고음을 울리기 위한 훈련으로 삼음으로써 동북아시아 열강의 파워게임으로 간주되고 있다.


미국이 21세기 군사전략의 중심을 유럽에서 아시아로 이동하면서 이 훈련의 규모 역시 강화되었다. 2000년 6월 30일부터 한 달 간 하와이 근해에서 실시된 훈련에는 기존의 6개국 외에 칠레가 합류하였고, 영국에서만도 2만 2천여 명의 군인과 해상경비대가 참여해 가상적국에 대한 공중반격, 난민들에 대한 인도적 지원훈련도 병행했다.


또한 200대의 항공기와 50척의 군함이 동원되는 등 태평양 지역 합동훈련으로서는 사상 최대 규모였으며, 한국도 수상함·잠수함·대잠초계기 등을 파견했다.


한편 일본 역시 해상자위대 병력 2천 명과 군함 8척, 잠수함 및 보급선, 대잠함초계기 등을 파견함으로써 그동안 미국과 특별팀을 짜는 방식으로만 참여했던 해상 자위대의 참여 범위를 확대하고, 2002년부터는 공식적으로 다국적 훈련 참가를 천명함으로써 집단적 자위권 논란을 불러일으키는 등 주변국의 비난을 사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