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여성부 가족친화제도 도입 ‘걸음마 수준’

정춘옥 기자  2006.12.28 11:12:12

기사프린트

 

 여성가족부(장관 장하진)는 가족친화 프로그램 활용도를 측정하는 가족친화지수(FFI, Family Friendliness Index)를 개발하여 705개 국내 중앙행정기관 및 지방자치단체, 기업 및 대학 등을 대상으로 측정 조사한 결과를 어제 발표하였다.

 가족친화지수를 측정한 결과 평균 37점(100점 만점)으로 나타나 국내 기관들의 가족친화제도 도입이 아직 시작단계에 머물러 있음을 확인하였다.

 가족친화지수는 크게 탄력적 근무제도, 자녀양육 및 교육 지원제도, 부양가족 지원제도, 근로자 지원제도, 가족친화 문화 조성 등 5개의 범주와 가족친화 제도의 시행이 가져오는 실질적인 효과 및 장애요인 등을 알아보는 부문으로 구성되었다.

 전반적으로 3개 부문기관의 특성을 보면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의 가족친화지수가 상대적으로 중상위권에 많이 분포해 전체적으로 민간부문을 선도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대학은 도입초기에 머물러 중상위권이 거의 없는 수준이며 기업의 경우 대학이나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보다 가족  친화정도가 낮은 수준에 집중되어 있는 한편 타기관보다  매우 우수한 기업이 소수 나타나는 특성을 보이고 있다.

 이중 우수한 기업은 유한킴벌리, 대교, 이랜드, 네오웨이브, 엘지전자 등이었으며 우수 중앙행정기관 및 지자체는 교육인적자원부, 충북도청, 부산시청 등이었고, 대학의 경우 한남대학교와 목포대학교가 우수하였다.

 또한, 가족친화지수의 점수분포에 따라 총 4단계로 나누어, 법으로 정해진 산전후 휴가제도, 육아휴직제도 이외에 가족친화 프로그램을 2개 이상 시행하고 있는 500개 기관을 가족친화 적용기관(평균 42.7점)으로 선정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