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 남한산성이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선정됐다.
도는 지난 6월22일(한국시각) 오후 카타르 도하 국립컨벤션센터(Qatar National Convention Centre)에서 열린 유네스코 세계유산위원회(WHC; World Heritage Committee) 제38차 회의에서 ‘남한산성’의 세계문화유산(World Cultural Heritage) 등재가 확정됐다고 밝혔다.
본지와 자매지 수도권일보는 ‘남한산성 나라사랑 문화제’를 11년간 개최하는 등 ‘남한산성’의 역사 문화 자연적 의의를 대내외에 알리고 세계문화유산 등재 및 세계적 차원의 유적지로의 개발을 줄곧 주장해왔다.
이에 남한산성의 세계문화유산 등재 배경과 가치, 개발하고 발전시켜야할 과제 등을 알아보았다.
지형을 이용한 축성술 방어전술
국내 유적이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것은 지난 2010년 '한국의 역사마을 양동·하회' 이후 4년 만이다. 국내 11번째, 도내 3번째다.
이로써 우리나라는 석굴암·불국사와 해인사 장경판전, 종묘(이상 1995년), 창덕궁, 수원 화성(1997년), 경주 역사유적지구, 고창·화순·강화 고인돌 유적(이상 2000년), 제주 화산섬과 용암 동굴(2007년), 조선왕릉(2009년), 하회·양동 역사마을(2010)을 포함해 11건의 세계유산을 보유한 국가가 됐다. 이 가운데 수원 화성과 조선왕릉 등 3건이 도내에 있다.
이날 위원회는 49건의 등재신청 유산 가운데 사전 완전성 평가에서 탈락한 9건을 제외한 40건을 대상으로 심사했다. 남한산성은 24번째로 심사 대상에 올라 '등재(Insribe)' 유산으로 분류됐다.
남한산성은 세계문화유산 자문기구인 ICOMOS(국제기념물유적협의회)로부터 동아시아에서 도시계획과 축성술이 상호 교류한 증거를 지닌 군사 유산으로 세계 유산적 가치가 있다는 평가를 받았다. 지형을 이용한 축성술과 방어전술의 시대별 층위가 결집한 초대형 포곡식(包谷式) 산성이라는 점도 높은 점수를 얻었다.
효과적인 법적 보호 체계와 보존정책 등으로 상태도 양호한 것으로 조사됐다. 광주시와 성남시, 하남시 등 3개 시(市)에 걸쳐 있는 남한산성은 1963년 1월 사적 제57호로 지정된 산성이다. 크게 성곽을 중심으로 하는 산성과 행궁 구역으로 나뉘는데 행궁은 임금이 임시 거주하던 왕궁이었다.
성곽의 길이는 모두 11.76㎞로 본성이 9.5㎞, 외성이 2.71㎞이다. 면적은 총 3만6447㎢로 성 안쪽이 2317㎢(6%), 성 바깥쪽이 3만4130㎢(94%)를 차지한다.
산성 내에는 수어장대, 연무관, 숭열전, 청량당, 현절사, 침괘정 등 6개의 도 지정문화재가 있으며 망월사지와 개원사지 등 도 기념물도 2개가 있다.
문화행사로 남한산성 알리기 앞장서
본지와 자매지 수도권일보는 올해 11회를 맞이하는 ‘남한산성 나라사랑 문화제’를 통해 이 같은 남한산성의 가치를 알리고 함께하는데 앞장서 왔다.
그림 그리기와 글쓰기 등의 각종 경연대회를 개최해 내일의 주인공인 청소년들에게 꿈과 희망을 가슴에 심어주고 자유민주주의 국가관을 정립하는 견인차 역할을 맡아왔다. 달집태우기, 전통줄타기, 강강술래 등 공동체 의식이 담긴 전통놀이를 통해 놀이문화와 민족의 얼을 계승하는 자리기도 했다. 호국의 성지인 남한산성에서 조국과 이웃에 대한 사랑을 되새겨온 ‘남한산성 나라사랑 문화제’는 국가 발전의 초석이 되고 있다.
지역주민 관광객 누구나 참여할 수 있는 ‘남한산성 나라사랑 문화제’는 남한산성의 역사 자연 문화적 가치를 대내외적으로 알리는 축제로 지난 2004년부터 해마다 열렸다. 역사 가치의 승화와 자연 보전의 슬로건을 구체화한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남한산성의 대표적인 관광축제로 자리매김 해왔다는 평가를 얻고 있다.
본지와 자매지 수도권일보 발행인인 강신한 회장은 “이천년 동안 우리를 지켜준 남한산성은 수도권방어의 난공불락으로 각인돼 왔다”며, “조국수호정신을 담은 남한산성은 안보정신과 애국심을 잊지 않게 채찍질해주는 보물”이라고 강조해왔다. 강 회장은 “패배의 역사라는 잘못된 남한산성의 역사의식을 바로잡고 민족의 자긍심이자 인류의 문화유산으로써 남한산성의 정신과 의미를 기억해야 한다”며 “남한산성 사계절의 아름다움을 알리고 천혜의 관광 자원을 활용해 전 국민이 함께 호흡하는 문화관광유적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도록 계기를 만들어나갈 것”이라며 ‘남한산성 나라사랑 문화제’의 의의를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