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중앙박물관(관장 김홍남)은 역사관 대외교류실에서 9월4일(화)부터 10월 28일(일)까지 임경업(林慶業: 1594~1646년) 장군의 칼등 6점을 특별 전시한다. 이 칼은 충주 충렬사(忠烈祠: 임경업 장군의 사당, 사적 제 189호) 경내 유물전시관에 전시되어 있었던 것으로 국립중앙박물관이 전국 각지의 서원, 향교, 문중의 소장품, 충렬사, 임경업 장군의 후손(평택임씨 문중), 충주시청의 협조를 받아 마련하였다.
칼날은 철, 손잡이와 칼집은 목재, 목재를 고정시키는 장식은 황동과 동으로 되어 있다. 코등이는 얇은 철판으로 제작되어 있으며, 그 위에 주석·납으로 합금하여 도금하였다. 이 추련도 양날에는 아래 한시(漢詩) 28자가 새겨져 있다.
아울러 이 전시에는 충렬사에 소장된 임경업 장군 교지 2점과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임경업 장군의 초상화 그리고 임경업 장군의 일대기를 소설로 엮은『임경업전(林慶業傳)』이 함께 선보인다. 교지중 하나는 인조 14(1636)년 평안도 의주부(義州府)의 부윤(府尹) 때 작성된 것이며, 다른 하나는 숙종 32(1706)년 임경업 장군에게 충민공(忠愍公)이라는 시호를 내리며 발급한 교지이다.
임경업 장군은 각지에서 선정(善政)을 하여 백성의 신망을 얻었으며 평안도 지역의 여러 성곽을 보수하며 오랑캐의 침입에 대비한 바 있다. 특히 병자호란 때에는 청나라와 국경을 접하고 있던 백마산성에서 전투에 임하였으며, 이후 전개된 청나라와 명나라간의 전쟁에서 명나라를 섬긴 당시 조선 조정의 정책에 따라 명나라에 유리한 군사 활동을 전개하였다.
애석하게도 임경업 장군은 심기원(沈器遠)의 난에 연루되었다는 누명을 쓰고 조사를 받던 중 장살(杖殺)되었다. 그 후 임경업 장군과 관련된 많은 영웅담과 무용담이 생겼으며, 심지어 신으로 삼아 잘 모시면 풍어(豊漁)와 소원성취를 이루고 억울한 혼령도 구원과 위로를 받게 된다는 무속 신앙이 탄생되기도 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