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27일 전북 부안과 충남 서천 지역에 벼 줄무늬잎마름병 피해가 크게 발생했다. 전북도와 부안군에 따르면 부안지역의 벼 줄무늬잎마름병 피해 면적은 총 2260ha에 이른다.
또한 서천군에서도 조사 결과 군내 전체 벼 경작면적 1만 793ha 중 23%가 줄무늬잎마름병에 걸린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벼 줄무늬잎마름병이란 애멸구가 병원균을 옮겨 발생하는 병이다. 이 병은 30년 전에나 볼수 있었던 병이었는데 최근 이상기온을 병의 원인으로 보고 있다. 예년 피해 수준을 넘어 자연재해에 가까운 만큼 정부의 대책이 시급하다. 하지만 아직까지 정부에서는 어떤 대책도 내놓지 않은 상태이다.
이번 잎마름병이 발생한 상황에서 2006년도 쌀 총생산량 및 총 생산액(매출액) 기준 50~70%의 수확량 감소가 예상됨에 따라 농민들의 손실액은 수 백억원에 이를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하지만 정부는 이에 관한 영농대책이나 실태파악 조차하고 있지 않다.
또한 이번 잎마름병으로 피해를 당한 농민들의 입장에서는 수확기를 앞두고 지역 생산 농가들의 소득감소의 차질이 우려되며 농가부채의 부담이 더욱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사)한국농업경영인중앙연합회(아래 한농연)는 이번 잎마름병을 자연재해로 인정하라고 정부에 촉구하고 있다. 한농연은 “이번 어려운 농민의 현실을 타개할 수 있는 당장 농업재해대책법에 준하는 지원을 강구하여야 할 것”이라면서 “냉해나 풍수해 등에 국한하지말고 병충해에 대해서도 자연재해로 인정될 수 있도록 현행 농업재해대책법 규정을 개정하여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미FTA체결로 농민들에게 어떤 피해가 올지 모르는 상태에서 계속되는 이상기온으로 농민의 시름은 더욱 커질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