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나라 국민 10명중 8명은 철도노조와 화물연대의 공동파업이 바람직하지 않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레일이 여론조사 전문기관인 한길리서치연구소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 16일로 예정된 철도노조와 화물연대의 공동파업에 대해 “바람직하지 않다”라는 응답이 78.8%로 압도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바람직하다”라는 응답은 8.7%에 불과해 파업에 대한 국민정서가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파업이유의 적절성을 묻는 질문에서도 철도노조가 구조조정 저지, 비정규직 정규직화, 해고자 복직 등을 내세우며 파업하는 것에 대해 “적절하지 않다”가 75.4%, “적절하다”가 15.2%로 큰 차이를 보여 국민들 대부분은 파업에 반대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파업이유에 대해서도 공감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들은 또한 “철도노조가 파업을 한다면 어떻게 해야 하는가?”라는 질문에 대해 “파업을 빨리 끝내기 위해 노조요구를 수용해야 한다”(21.4%)는 의견보다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대처해야 한다”(65.1%)는 의견이 훨씬 많아 정부와 코레일의 엄정대처 방침에 적극적인 지지를 표시했다.
특히 “불법파업 참가자에 대해 어떤 조치를 해야 한다고 보는가?”라는 질문에 “참가자 모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가 46%, “주동자만 책임을 물어야 한다”가 34.8%, “책임을 물어서는 안된다“는 11.7%로 나타나, 참가자 모두에게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은 한편, 총 80.8%에 달하는 국민은 불법파업 참가자에 대해 어떤 형식으로든 책임을 물어야 한다는 의견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이번 파업이 우리경제나 사회에 미치는 손실 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영향이 크다’라는 응답이 93.3%(매우 크다 56.3%, 어느 정도 크다 37%)로 매우 높게 나타나 국민들이 우려하는 교통·물류대란의 정도가 심각함을 보여줬다.
향후 철도운영과 관련해서는 “공기업이지만 지속적인 경영혁신을 통해 민간기업 수준의 경쟁력을 확보해야 한다”는 의견은 40.8%, “경영혁신이 제대로 되지 않으면 민영화를 검토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은 36.5%, “국가기간산업으로서 공기업체제가 유지되어야 한다”는 의견은 16%로 나타나 공기업 경영혁신에 대한 국민들의 요구를 엿볼 수 있었다.
이번 조사는 코레일이 16일 파업을 앞두고 국민의견을 수렴하기 위해 여론조사 전문기관 한길리서치연구소에 의뢰, 지난 12일 전국 19세 이상 남녀 800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한 결과이다.(조사방법: 전화면접, 표본오차: 95%신뢰수준에 ±3.46%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