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살 소년의 살인, 그 이후

2009.06.03 10:06:06

소년이 살인을 저지른다. 이 한 줄의 문장으로부터 영화를 만든다면 자극적인 사회 범죄물을 떠올릴 것이다. 하지만 ‘보이 A’는 어른도 아이도 아닌 백지 상태의 소년이 겪을 아픈 삶에 관심을 기울였다.
14년간 복역 뒤 마주한 세상
10살의 나이로 끔찍한 살인을 저지른 소년이 있다. 그의 이름은 ‘보이 A’. 소년은 14년간의 복역을 마치고 잭이란 새로운 이름으로, 오래도록 단절되었던 진짜 세상에 뛰어들 준비를 한다. 그의 착한 본성을 알고 있던 보호감찰사 테리의 도움으로 새 직장과 친구, 애인까지 생기게 된 잭. 그러나 너무도 간절했던 것들을 손에 넣을수록 과거를 숨기고 있다는 죄책감은 더욱 깊어만 진다.
그러던 어느 날, 교통사고현장에서 여자아이를 구한 잭은 일약 영웅으로 떠오르지만, 그와 동시에 '보이 A'의 석방소식이 대대적으로 보도되면서 감춰왔던 과거가 드러나게 된다. 잔혹한 과거 앞에 다정했던 사람들은 차갑게 돌변하고 세상은 소년을 밀어내기만 한다.
‘보이 A’는 영국의 실화에서 출발했다. 1993년 영국 리버풀의 한 쇼핑센터에서 제임스 벌저라는 2살 난 남자아이가 실종됐다. 이 사건은 방송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됐고, 사람들은 아이가 부모의 품으로 무사히 돌아오기만을 바랬다. 그러나 아이는 싸늘한 주검으로 발견 됐고 2살 난 어린아이를 잔인하게 살해한 범인이 10살밖에 되지 않은 소년들이었다는 충격적인 사실이 밝혀졌다. 이 사건은 영국 범죄사상 가장 충격적이고 슬픈 사건으로 기록되며 영국을 CCTV 천국으로 만드는 계기가 됐다. 작가 조나단 트리겔은 이 사건을 소재로 소년 범죄에 대한 적나라한 현실을 고발한 작품 ‘boy A’를 집필했고 영국 최대 제작사 Film4와 존 크로울리 감독에 의해 스크린화 되었다.
자극적 사건보다 중요한 용서와 속죄
영화는 편견에 둘러 쌓인 사람들이 애써 피하고 거절해왔던 문제들을 똑바로 마주보게 만든다. 영화 속에 등장하는 사건과 인물들은 단순히 신문 장식을 위한 기삿거리가 아닌 용서와 속죄에 대한 이야기이다. 충격적 사건 그 이후에 찾아오는 문제들에 대해 180도 다른 입장에서 기술했다.
세상과 단절된 채 ‘보이 A’라는 대명사로 살아온 14년, 지옥 같은 과거로부터 회개하기 위해 살아왔던 소년은 새 이름을 가지고 세상에 첫발을 내딛지만 평범한 사람으로 살아가는 기쁨을 채 다 맛보기도 전에 또다시 과거에 발목을 잡히게된다. 미디어와 대중들은 석방된 ‘보이 A’를 끈질기게 따라다니며 그가 저질렀던 범죄를 끝없이 대서특필하고, 과거를 알게 된 친구와 연인은 얼음보다 차갑게 돌아선다. 영화는 그 누구도 생각해보지 않았던 가해자 ‘보이 A’의 심경을 따라가며 소년범죄에 대한 속죄와 용서에 대해 다시한번 생각할 기회를 전해준다.
당초 이 작품은 TV영화로 기획됐었지만 뛰어난 작품성이 알려지면서 베를린영화제 디나르영화제 BAFTA 등 작년 세계 유수영화제를 휩쓸며 남우주연상 감독상 편집상 각본상 촬영상 작품상에 이르는 10개 상을 수상했다. 영화는 진정성이라는 강렬한 흡인력과 흥미로운 구성으로 소년범죄의 치명적 문제를 강렬하게 전달한다.
앤드류 가필드의 연기력 돋보여
특히 몸은 성인이 됐지만 마음은 아직도 10살 그대로 멈춰있는 어른 아이를 연기한 신예 앤드류 가필드의 연기력은 영화 전체에 상당한 힘을 실어준다. 앤드류 가필드는 연극무대에서 다져진 풍부하고 깊은 연기력으로 이 난해하고도 섬세한 캐릭터 잭을 표현해냈는데, 사람들 앞에서 말을 더듬는 것, CCTV 하나에도 불안해하는 눈빛 등 마치 이제 막 감옥에서 빠져 나온 듯한 신들린 연기를 선보였다.
잭의 유일하게 속내를 터놓을 수 있는 단 한 사람이자 잭의 사회 복귀를 돕는 멘토 테리 역에는 ‘내 이름은 조’로 1998년 칸영화제 남우주연상 수상, ‘막달레나 시스터즈’로 2002년 베니스영화제 황금사자상을 수상한 세계적 배우이자 영화감독인 피터 뮬란이 열연했다. 실제로도 사회문제에 지대한 관심을 가지, 다양한 활동을 펼치고 있는 그는 모두에게 다시 시작할 수 있는 기회가 주어진다는 믿음으로 잔혹한 사건의 가해자를 사회로 되돌려 보내고자 노력하는 테리 역에 둘도 없는 적임자였다.

신주쿠 사건
감독 : 이동승
배우 : 성룡, 다케나카 나오토, 다니엘 우
일본을 배경으로 성룡이 펼치는 1980년대 풍의 홍콩느와르. 중국에서 트랙터 정비공으로 일하던 철두는 일본으로 밀입국하는데, 먼저 일본으로 건너가 연락이 끊긴 여자 친구를 찾기 위해서다. 그는 불법체류자의 신분으로 도쿄의 지하세계에 머물면서 하루하루를 힘겹게 버텨낸다. 어느 날 여자 친구가 야쿠자 두목과 결혼했다는 사실을 알게 되고 어느새 자신이 그들의 표적이 되어 있음을 깨닫게 된다. 이에 어쩔 수 없이 야쿠자를 돕기에 이르는 철두. 그러나 친구의 배신으로 인해 모든 일이 틀어져 버린다. 이제 야쿠자와 정면 대결을 벌여야 되는 절체절명의 상황. 과연 철두는 홀로 그들을 상대할 수 있을 것인가.

세라핀
감독 : 마르탱 프로보스트
배우 : 욜랭드 모로, 울리히 터커
파리의 북동쪽의 작은 마을 상리스에서 남의 집 허드렛일을 하면서 근근이 생계를 이어가는 세라핀. 그녀는 땔감이나 집세 낼 돈마저도 모두 털어 그림 재료를 사들이고 들꽃이나 풀, 심지어는 교회의 촛농까지도 훔쳐다가 자신만의 색을 만들어 그림을 그린다. 세라핀은 하나님의 계시를 받아 그림을 그린다고 생각하지만 마을 사람들은 그런 그녀를 비웃고 조롱할 뿐이다. 자신의 본능에 따라 그림에 몰두하는 자유로운 영혼의 그녀에게 운명처럼 한 사람이 찾아온다. 독일인 미술 평론가이자 화상인 빌헬름 우데는 휴식을 취하면서 글을 쓸 요량으로 상리스에 작은 방을 빌려 이사를 온다. 그리고 세라핀과의 만남이 시작된다.
시사뉴스 webmaster@sisa-news.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