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저】 숲길을 걷다

2022.02.22 13:13:41

자작나무, 편백나무, 소나무, 삼나무 울창한 산림욕 명소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집콕’에 지친다면 나무 사이를 걸어보자. 편백나무 피톤치드 향을 맡으며 걸을 수 있는 산책길, 아름다운 하얀 자작나무를 한껏 느낄 수 있는 숲, 사시사철 푸르고 꽃이 피어 언제나 봄 같은 ‘장춘 천년숲길’ 등 산림욕 명소를 소개한다. 

 

공기마을의 오솔길

 

전라북도 완주군 상관면 죽림리 공기마을은 한오봉(570m)아래 작은 산촌마을로 주변 산이 마을을 오목하게 둘러싸고 있는 모양이 밥공기를 닮았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1976년 산림녹화사업 때부터 마을 주민들이 손수 편백나무를 심기 시작해 현재는 약 86ha규모에 10만여 그루 편백나무와 잣나무, 삼나무, 오동나무 등이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등산로, 산책로, 주차장이 조성돼 있으며 편백나무 피톤치드 향을 맡으며 걸을 수 있는 산책길은 총 8km, 4개 코스로 이루어져 있다. 이중 가장 인기를 모으는 코스는 약 2km구간의 오솔길로 편백숲 관광안내센터에서 출발해서 산림욕장, 통문을 지나오는 구간이다. 산책길 마지막에는 노천 족욕 유황탕이 있어 겨울철 산책과 등산으로 지치고 추위로 언 몸을 녹일 수 있다.


강원 원주시 호저면 섬강 자작나무숲 둘레길은 수령이 30년 이상 되는 자작나무 숲속에 데크 길과 휴게공간 등을 조성한 길이 4.5㎞의 명품 둘레길이다. 둘레길은 호저면 산현리 칠봉체육공원에서 시작한다. 섬강을 따라 걷는 데크 길에서는 들판과 강이 어우러진 풍광을 만끽하고 잣나무숲을 지나면 신비스러우면서 아름다운 하얀 자작나무를 한껏 느낄 수 있다. 자작나무는 활엽수 중 피톤치드를 많이 내뿜는 수종으로 산림욕 효과가 크고 살균효과도 좋아 아토피 치유에 도움을 준다고 알려져 있다. 

 

 

 

금강송이 울창한 명품 숲


경북 영양군 수비면 해발 918m의 검마산은 경북 영양군과 울진군의 경계를 이루는 산으로 이 곳 영양군 수비면 죽파리 산자락에 자작나무 숲이 자리잡고 있다. 산림청은 지난 1993년도 이곳에 자작나무를 심기 시작했으며 축구장 40여 개의 크기인 30㏊ 규모에 자작나무가 순백의 숲을 이루고 있다. 죽파리 자작나무 숲은 첩첩산중의 골짜기에 자리잡고 있어 한동안 사람의 발길이 닿지 않았으나 인근 검마산자연휴양림을 찾는 이들을 통해 숨은 명소로 알려지기 시작했다.


 ‘대관령소나무숲길’은 1922~1928년 소나무 씨앗을 직접 뿌리는 직파조림 방식으로 조성된 뒤 지난 2018년 100여 년 만에 일반에 처음 개방된 곳이다. 총면적 4㎢, 축구장 571개 규모로 2000년에는 제1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22세기를 위해 보존할 아름다운 숲’으로 지정됐으며 2017년에는 산림청에서 지정한 ‘경영 ·경관형 10대 명품 숲’에 선정되기도 했다. 금강송(황장목)이 울창한 숲을 이루는 대관령소나무숲길은 2019년부터 한국등산·트레킹지원센터에서 운영·관리를 맡아 맞춤형 숲길 안내 및 숲 해설 프로그램을 운영 중이다.
아름드리 삼나무 군락


제주도 서귀포시에 위치한 ‘사려니 숲’은 제주어로 ‘신성하다’는 뜻을 담고 있다. 1203㏊ 규모로 해발 300~750m에 위치해 오름을 제외한 대부분의 지역이 평탄해 접근성이 좋고 아름드리 삼나무 군락과 역사·문화자원을 간직한 곳이다. 특히 제주시 봉개동 절물오름 남쪽에서 물찻오름을 지나 서귀포시 남원읍 사려니 오름까지 이어지는 약 15㎞ 숲길이 명품코스다. 사려니 숲 내 주요 수종인 삼나무는 평균 높이 28m, 나이 80년으로 울창한 숲을 이루고 있다. 숲 속에는 화전(火田)마을과 가마터 등의 흔적이 남아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숲길은 5개 코스, 오름 등산로 2개로 이뤄져 있고 주변에 제주 절물휴양림과 한라생태숲, 에코랜드, 제주 돌문화 공원 등이 위치해 있다.


전남 해남군 ‘장춘 천년숲길’은 두륜산의 입구부터 대흥사 일주문까지 약 4㎞에 이르는 숲길이다. ‘나무가 많아 사시사철 푸르고 꽃이 피어 언제나 봄 같다’는 의미로 장춘이라 하며, 난대림과 계곡이 어우러져 빼어난 경치를 자랑한다. 경사가 완만해 다양한 연령층이 쉽게 접근할 수 있는 곳이기도 하다. 숲길 안쪽으로는 산책로가 조성돼 삼나무와 측백나무, 동백나무 등이 800종이 넘는 다양한 활엽수가 군락을 이루고 있어 삼림욕을 즐길 수 있고, 구곡유수(九曲流水) 계곡 위로 목조 다리 등도 조성돼 있다. 다양한 식물이 원시림을 이룬 숲길을 걷다보면 유네스코 세계유산 대흥사와 국보 308호 북미륵암 마애좌불을 비롯해 천년수, 일지암, 남미륵암 등 갖가지 전설을 간직한 유적도 만날 수 있다. 

 

정춘옥 sisa-news@naver.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