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과사람】 한중 관계 600년 역사, 하버드대 라이샤워 강연 <제국과 의로운 민족>

2022.03.14 09:15:59

한반도와 중국의 관계사

 

[시사뉴스 정춘옥 기자]  <냉전의 지구사>, <잠 못 이루는 제국>을 통해 제국의 작동 방식을 풀어낸 미국 예일대 오드 아르네 베스타 교수의 신작이다. 한반도에 학문적 관심을 기울이며 600년 한중 관계의 핵심과 의미를 밝혔다.

 

한국은 왜 항상 독자적 국가였나?

 

베스타가 던지는 첫 질문은 수백 년이 넘은 시간 동안 중국에 존재했던 여러 제국들과 매우 긴밀한 관계를 맺었던 한국이 어떻게 단 한 번도 중국 제국의 일부가 되지 않았는가다. 티베트와 몽골, 그리고 중앙아시아의 많은 나라를 비롯해 오늘날 중국의 남서부 지역이 돼버린 많은 나라들이 그 기간이 길든 짧든 중국 제국에 편입됐다. 하지만 한반도는 그렇지 않았다. 한국은 왜 항상 독자적 국가로 유지됐을까? 한국이 제국 바깥에서 뚜렷한 정체성을 지닌 이유가 무엇이었는가? 베스타가 이유로 제시하는 두 가지, ‘정체성’과 ‘지식’은 도대체 무엇일까?

 

베스타는 중국과 대비해 한국을 ‘의로운 민족’으로 칭한다. 한국인이 특별히 더 의롭다는 의미는 물론 아니다. 600여 년간 한국의 역사에서 그 연결고리가 의로움을 포함한 유교 사상이었다는 것이다. 조선의 유교화 프로젝트는 매우 성공적이었다. 저자는 거의 전 인민이 참여했으며 한국인들에게 역사 내내 무척 깊은 각인을 남길 수 있었다는 점을 강조하며 이는 동아시아의 많은 유교 국가들과 전혀 달랐던 점임을 밝힌다. 그저 윤리적 수준에서 ‘우리는 누구인가’를 정의하는 것을 넘어서서 의로움이 국가이자 민족이자 공동체를 묶어내는 기치가 됐다는 것이다. 이것이 한반도만의 독특한 ‘민족’ 정체성을 형성하는 토대였다.

 

특히 임진왜란과 병자호란의 경험이 중요했다. 이때 조선에서는 중국, 일본과 구분되는 민족적 정체성이 강하게 형성된다. 이 정체성이야말로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명 제국이 무너지고 토요토미 히데요시의 실험이 패배 속에 사라졌지만 조선은 살아남을 수 있었던 능력이었다고 저자는 말한다.

 

통일 한반도와의 관계 설정

 

한반도가 중국 제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고 있었지만, 중국 제국 바깥에 남아 있었던 두 번째 이유인 ‘지식’이 시사하는 바는 오늘날에도 중요하다. 한국의 엘리트들은 중국이 스스로 아는 것보다 제국을 훨씬 더 많이 알고 있는 전문가였다. 제국의 수도에 매년 몇 차례의 사신 방문을 통해 이익을 챙기는 솜씨가 좋았고, 그곳에서 논의 중인 사안, 첩보 등을 알아내 조정에 보고했다. 따라서 조선의 위정자들은 중국에서 새로운 제안이 올 때마다 대응방안을 세울 수 있었다. 명이든 이후의 청 제국이든 중국은 조선을 모범적인 동맹국으로 봤다. 조선은 그렇게 별개의 나라가 될 권리를 얻었다. 바로 그렇기 때문에 역설적으로 조선은 청을 제국으로 존재할 수 있게 하는 존재였다.

 

책의 헌정 문구로 ‘평화와 통일을 이룬 미래의 한반도를 위해’를 넣었을 만큼 베스타는 앞으로 올 한반도의 통일에 관심을 기울인다. 수십 년에 걸친 대한민국의 정치, 경제, 국제적 성취에도 마치 다모클레스의 칼처럼 한반도에 긴장감이 감도는 것은 긴장 관계 자체가 아니라 전쟁으로 치달을 수 있기 때문이다. 북한 정권의 붕괴가 갑작스럽게 일어난다면 16세기 일본의 침략이 그랬듯이 동아시아에서 운명의 순간이 도래할 수 있다. 이때 중국이 자국의 이익보다 지역의 이익을 우선시할 준비가 되어 있을까? 권위주의적인 중국이 민주주의 정부하의 한반도 통일을 수용하고 이를 촉진할 수 있을까? 베스타는 통일 한반도와의 관계 설정이 역사적으로 그랬던 것처럼 중국이 다시 ‘제국’이 될 수 있는 길과도 깊이 관련되어 있다고 기술한다.

정춘옥 sisa-news@naver.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