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물가 시대, 쌀값만 대폭락...한숨짓는 경남농민

2022.09.03 09:11:44

비료값, 인건비 상승으로 이중고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고물가,고금리에 비료값, 인건비 다 올랐는데 유독 쌀값만 끝없이 추락하고 있어 농민들의 시름이 깊어가고 있다. 고물가 상황에, 쌀값 하락이라는 이중고를 겪는 농민들은 정부에 대책마련을 촉구하고 있다.

3일 경남 합천군에서 20년째 쌀 농사를 짓고 있는 한 농민은 "작년 대비 벼 판매 수입은 30% 정도 줄것으로 보이고 영농비 지출은 약 25% 늘었다. 이대로가면 빚만 남는다"고 하소연했다.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에 따르면 지난달 5일 기준 산지 쌀(일반계·20㎏) 가격은 4만 3093원으로 전년 동월(5만 5580원) 대비 22.4% 폭락했다. 지난해 7월 이후 1년 넘게 하락세로 올 5월(4만 5537원)에는 최근 5년 평년 가격(4만 7000원)을 밑도는 수준까지 떨어졌다.
 

특히 이맘때 수확하는 조생벼는 40kg 기준, 작년에는 6만 8000 원에서 7만 원 정도였는데 올해는 5만 원에서 5만 3000 원 수준으로 떨어졌다.

쌀값 내림세는 더 가속화될 것으로 보인다. 재고 물량이 줄지 않은 상황에서 올해산 햅쌀이 곧 출하되기 때문이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KREI) 자료에 따르면 올 4월 말 기준 산지유통업체의 쌀 재고량은 95만 9000톤으로 전년 대비 56.9%(34만 8000톤) 증가한 수준이다.

 

쌀 순 판매량이 급감했기 때문인데 통계청에 따르면 1991년 116.3㎏이던 우리나라 1인당 연간 쌀 소비는 지난해 56.9㎏으로 반토막 수준까지 떨어졌다.

가격 폭락이 이대로 지속될 경우 지역농협들도 올해 햅쌀 수매에 소극적으로 나설 수 밖에 없다. 지역농협의 경우 현 쌀값을 고려하면 막대한 손실이 불가피한 실정이다.

한농연·전농 등 농민단체들은 지난달 29일 오후 서울역 인근에서 농민 총궐기 대회를 열고 정부의 늑장 대응과 미온적 대처가 쌀값 폭락의 원인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구체적인 대책으로 자동시장격리제 법적 보장, 쌀 저율관세할당(TRQ) 중단, 재고미 전량 격리 등을 제시했다.

한농연 경남지부 관계자는 "정부는 그동안 쌀 37만t을 시장 격리 조치했지만 시기를 놓쳤다. '최저가 입찰과 역공매'라는 잘못된 방식으로 오히려 가격 폭락만 가져왔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쌀값보장과 양곡관리법 개정, 구곡(저장중인 쌀) 전량 시장격리, 밥상용 수입 쌀 방출 중단이 필요하다"고 촉구했다.

경남 의령동부농협 전상곤 조합장은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쌀이 식량안보에 가장 중요한 것으로 대두됐다. 농민들이 쌀 생산량을 직접 조절할순 없다. 쌀이 시장에 나오기 전에 정부가 양곡 공급량을 시기에 맞춰 조절해 쌀값 폭락을 막아야 한다"고 말했다.

 

정치권에서 상황의 심각성을 감안해 대책마련에 나서는 모습이다.

 

더불어민주당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의원들은 지난달 국회에서 기자회견을 갖고 “2021년산 쌀 최소 10만 톤 이상 추가격리를 비롯해 정부와 공공기관 등의 수당·상여금을 쌀 쿠폰으로 지급하고 쌀을 원료로 사용하는 식품회사에 대한 인센티브 지급, 쌀 상품권 발행이 필요하다”고 정부에 촉구했다. 

 

국민의힘 홍문표 의원도  ‘대한민국 식량주권 쌀값 대책 마련을 위한 정책토론회’를 열고 “풍년을 기원하던 때가 엊그제인데 쌀값 폭락과 재고로 이젠 풍년이 농민들에겐 아픔이자 고통이 돼 가고 있는 현실이다. 매년 되풀이되는 쌀 문제를 이제는 근본적인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도영 ink502@hanmail.net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