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례상 물가관리 비상...배추 43%·사과 31% 급등

2022.09.03 09:53:33

 

[시사뉴스 김도영 기자]  추석을 앞두고 서민들의 장바구니 부담을 덜기 위해 정부가 주요 농산물 4,000톤을 추가 공급하며 역대급 물량공세를 펼치고 있지만 급등한 농산물 가격이 진정될지는 미지수다.

3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추석(9월10일)을 일주일가량 앞두고 주요 성수품 가격이 크게 뛰었다. 지난해 추석(2021년 9월21일)을 앞둔 비슷한 시기와 비교해도 오름세가 두드러진다.

2일 기준 배추는 포기당 7398원으로 지난해 추석 일주일 전 5177원과 비교해 42.9% 올랐다. 무는 개당 3199원으로 작년(2036원)보다 57.%나 껑충 뛰었다. 양파는 ㎏당 27.4% 뛴 2602원, 깐마늘은 8.0% 오른 1만3109원이다. 감자는 41.4% 상승하며 100g당 434원이다.

주요 성수품에서는 빠졌지만 차례상에 빠지지 않는 시금치는 무섭게 올랐다. 작년 추석 전에는 1만3630원 하던 것이 올해는 두 배가 넘는 3만원(3만759원)을 넘겼다.

 무와 배추의 경우 재배 면적이 줄고 일조량이 부족해 생산량이 줄었고, 양파와 마늘은 생산량 감소로 가격이 올랐다. 감자는 노지 봄 감자 작황 부진으로 전·평년 대비 가격이 비싼 수준이다.

작년보다 비싸기는 과일도 마찬가지다. 이른 추석에 수확기가 앞당겨지면서 과실이 우수한 상품이 줄어든 탓이다. 사과는 10개 기준 3만2316원으로 30.7%가 올랐고, 배는 3만9016원으로 20%가량(19.5%) 뛰었다.

명절 수요가 큰 축산물 가격 변동 폭이 작은 것은 그나마 다행이지만 평년보다는 높은 수준이다.

한우 등심(1+등급)은 100g에 1만2380원으로 작년(1만2964원)보다 조금 저렴하다. 돼지고기(삼겹살·100g)는 2658원으로 1년 전(2688원)에 비해 변동이 거의 없다. 닭고기(육계·1kg)는 5601원으로 8.7% 올랐고, 계란 한판(특30구) 가격은 6601원으로 작년(6598원)과 비슷하다.

올해 들어 소비자물가는 고공행진을 거듭하며 6월(6.0%)과 7월(6.3%)에는 6%대까지 치솟았다. 8월(5.7%) 들어 한풀 꺾이긴 했지만 농산물은 10.4%로 전월(8.5%)보다 상승 폭이 커졌다.

특히 채소류는 27.9%나 올라 전월(25.9%)보다 오름 폭을 키웠다. 2020년 9월(31.8%) 이후 최고 상승률이다. 축산물(3.7%)과 수산물(3.2%) 상승 폭이 완화되며 더 크게 뛰는 것을 막았다.

 

정부는 배추·무·양파·마늘·감자 등 농산물 공급량을 4,000톤 늘려 전체 성수품 공급물량을 14만8,000톤까지 확대하기로 했다고 1일 밝혔다.

 

올해 추석 차례상 차림 비용(31만8,000원)이 전년보다 6.8% 오를 것으로 조사되자, 추석 성수기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추가 조치를 내놓은 것이다.

 

앞서 농식품부는 지난달 정부 비축·농협 계약재배 물량을 활용, 14개 추석 성수품을 평시 대비 1.5배 수준(14만4,000톤)으로 공급하겠다고 밝혔다. 현재까지 공급된 물량(지난달 29일 기준)은 8만5,000톤으로 목표의 60%에 육박한다.

 

이 같은 수급노력에도 실제 성수품 가격이 안정되는 체감도는 낮다.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가 추석 차례상 비용을 조사한 결과 지난달 31일 기준 전통시장은 27만1932원, 대형마트는 36만2352원으로 작년과 비교해 각각 1만7636원(6.9%), 2만1040원(6.2%) 비싼 상황이다.


정부는 추석 때까지 전년대비 가격이 높은 품목에 대해서는 정부 비축물량을 활용해 공급량을 추가 확대하는 등 가격 안정 노력을 이어갈 방침이다. 배추 5890→6940t, 무 4940→7040t, 양파 3000→3350t, 마늘 300→335t, 감자 4700→5070t 등으로 공급량을 늘린다.

추석 성수품 확대 공급과 함께 소비자의 실질적인 물가 체감도를 낮추기 위해 오는 12일까지 '추석맞이 농축수산물 할인대전'도 열린다. 농축산물 할인쿠폰 예산을 월 90억원에서 최대 450억원까지 확대해 배추, 무, 사과, 배 등 14개 추석 성수품을 20~30% 할인 판매한다.

행사 기간 1인당 할인 한도를 1만원에서 2만원으로, 전통시장·로컬푸드 직매장은 2만원에서 3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유통업체 자체적으로 10~20% 추가해 할인 폭을 확대했다.

할인행사에는 5개 대형마트 뿐 아니라 지역농산물(로컬푸드) 직매장 25개, 전통시장 588개 등 전국 2952개 유통업체가 동참하고 있다.

방기선 기재부 1차관은 "농축수산물 할인쿠폰 전용코너 신설과 온라인몰 전용관 개설 등 홍보를 강화해 할인쿠폰 활용을 촉진하고, 할인쿠폰 예산 재배정을 통해 조기 소진에 따른 행사 중단이 없도록 만전을 기할 것"이라며 "유통업계의 적극적인 협조를 통해 체감 장바구니 물가를 낮추겠다"고 말했다.

 

김인중 농식품부 차관도 “추석 연휴 전까지 차관 주재로 매일 ‘추석 성수품 수급안정대책반’을 운영, 성수품 수급 상황을 면밀히 점검하는 등 추석 명절 장바구니 물가 안정을 위해 최선을 다하겠다”고 강조했다.

김도영 ink502@hanmail.net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