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볼만한 곳]운보집 가는 길목의 '응달마당'

2001.03.06 00:03:03

운보집 가는길목의 ‘응달마당’


화양계곡 따라 이색 민속찻집 발길잡아


대동강
물도 풀린다는 우수(雨水)가 지난지 하마 며칠이 지났건만 계절의 흐름은 여기에서 가던 발길을 잠시 멈춘 것일까?


충북 증평읍에서 화양계곡으로 이어지는 길목에는 소리없이 잊혀졌던 우리네 옛 삶의 향기가 그윽히 묻어나는 민속까페가 두군데 있다. 어쩌면
이제 이 지역에 붙박이로 자리잡은 듯한 ‘응달마당’과 그에 이은 ‘응달마당Ⅱ’가 바로 그 곳. 주인들 역시 친오누이 간으로 누이가 운영하고
있는 질마재 넘어 ‘응달마당’은 이미 유명세를 톡톡히 탔지만, 4년전 「운보의 집」들어가는 초입세에 새로 개점한 ‘응달마당Ⅱ’는 남동생
이재홍(40)씨와 부인 신희송(39)씨가 운영하는 곳으로 아직은 신출내기 풋내음도 약간은 느껴지는 곳이었다.


예스러운 나무문을 열고 들어서면 얼핏 쓰러질듯한 초라함이 느껴지는 벽과 천정아래 주인의 표현대로 귀신머리스러운 잡동사니(?)가 덕지덕지
매어달려 있다. 대낮인데도 어두컴컴한 조명 탓일까, 실내는 차를 마실 수 있는 빼곡한 공간을 제하고는 민속품들로 그득하고 허리라도 잘못
펼라치면 금방 머리라도 찧을 것 같다.


듣고 간 대로 그것은 모두 우리가 바쁜 일상에 쫓기며 잠시동안 망각했던 옛 삶의 조각들이요 남겨진 흔적이었다.


한밤중 새색시의 안방에서부터 밭은 기침 뱉어내던 칠순 노인의 사랑채 웃목까지 차지했슴직한 놋요강, 그 방의 벽에 일렁이는 그림자를 남겼을
나무등잔, 한 겨울 꽁꽁 언 손자의 빨간 손 주물러주며 추위를 나무랐을 질화로, 그리고도 물레며 고리짝, 함지박, 홍두깨, UN팔각성냥
등등…


우리주변에 많은 사람들은 청자나 백자, 고미술품 등 소위 돈이 됨직한 것만을 찾고 수집하지만, 이 집 주인들은 단지 잊혀져버리기에는 다소
아까운 손때 묻은 생활언저리의 민속품들을 모아 왔다나…


그저 좋아서 모았을 뿐 팔 생각은 추호도 없다는데 어떤 손님은 호기심에 슬쩍 하기도 하고, 신기한 마음에 만지다 손상시키기도 해 때론
속이 상한단다.


응달마당Ⅱ 문의: 043) 213-2308







응달마당은…


질마재
너머 누이 이재숙(48)씨는 응달마당의 원조격. 충북은 강원도 못지 않게 재가 많은데 이 곳 괴산 청안땅의 질마재는 그리 유명세를
치룰만 한 고개는 아니다. 다만 이 곳에 삶을 묻고 살아가는 사람들에게만 묵묵히 앉아 고개가 주는 가치를 더하게 할 뿐이다.
10여년전만해도 해 떨어진 저녁이면 서넛이 함께 넘어야 할 만큼 호젓했던 질마재는, 짐을지고 넘는다해서 붙여진 이름이요, 고개넘자
시작되는 문당리마을 왼켠은 햇볕 잘드는 양달마을, 오른켠은 상대적으로 그늘이 많이 진다는 응달마을이다.

이처럼 고개넘다 지쳤다 하기에는 어색할듯한 질마재 위에 누이 이재숙(48)씨가 남편 이종우(51)씨와 함께 지난 1992`년
마련한 곳이 ‘응달마당’이며 당연히 응달마을에 자리하고 있다.

예전에는 고즈녁하기도 했겠지만 화양계곡 가는 길에 ‘응달마당’이 자리함으로써 운치있게 변했다고나 할까?

가까운 시일내에 전시관을 갖겠노라 벼르고 있는 이재숙씨지만 얼마 전 화재로 살점처럼 아끼던 민속품들을 잃고나서 가슴앓이도 했었다
한다.


응달마당Ⅰ 문의: 043) 832-6639





<김승호 기자>

시사뉴스 webmaster@sisa-news.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