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방송]음악으로 승부하는 <정지영의 스위트 뮤직박스>

2001.11.19 00:11:11



NO 연예인! NO 팝송! NO 상품!



음악으로 승부하는 라디오프로 <정지영의 스위트 뮤직박스>





요즘 라디오프로를 듣다보면 이곳저곳에서 연예인들의 수다가 한창이다. DJ부터 게스트 심지어는 흘러나오는 음악까지 연예인들이 모두 꽉 쥐고
있다. 이들이 없었다면 라디오프로들은 벌써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었을 것이다. 이번 가을개편에서도 백재현, 하리수 등이 DJ로 대거 기용되어
연예인중심의 프로는 더 늘어나고 추세다. 그러나 연예인 중심의 라디오프로의 흐름 속에서 연어처럼 거꾸로 가려는 프로가 있다. 바로 SBS
파워 FM <정지영의 스위트 뮤직 박스>가 그 연어다. 지난 9월, 이 프로는 다른 경쟁프로를 제치고 동시간대 청취율 1위로까지
올라 많은 사람들을 놀라게 했다. 연예인도 없고 수다도 떨지 않는 이 프로의 인기 비결은 과연 무엇일까?


‘정통 FM’을 보여주마!

<스위트 뮤직박스>는 밤 12시부터 두 시간 동안 2년 넘게 방송되고 있다. DJ가 유명한 연예인도 아니고 최신가요를 틀어주는
것도 아니고 음악만 줄곧 틀어대는 이 프로는 확실히 다른 프로와 차별되는 점이 있다. 이 차별화가 바로 <스위트 뮤직박스>의
성공요인이기도 하다.

<스위트 뮤직박스>가 빛나는 가장 큰 매력은 음악이 쉬지 않고 흘러나온다는 것이다. 심야프로라는 것을 고려한 것이겠지만 BGM(Back
Ground Music)형식의 방송은 명절 때 아니면 듣기 힘든 것이 사실이다. 그러나 라디오에서 연일 계속되는 연예인들의 수다에 지친
라디오 청취자들을 사로잡기에는 이것만으로도 충분했다.

20대 전후반을 청취자층으로 고려한 <스위트 뮤직박스>는 가요만을 선곡한다. 대부분 발라드가요가 차지하지만 숨어있는 가요와 지나간
가요를 듣는 재미가 솔솔하다. 한 청취자가 매달 발표하는 ‘<스위트 뮤직박스>의 방송결산’에서 이 점은 더욱 뚜렷하게 드러났다.
한 달에 한 번만을 방송하는 곡이 전체의 80%를 차지한다는 발표는 이 프로를 만드는 PD, DJ, 작가들의 노고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다.


이 프로에는 연예인이 나오지 않는다. 게스트가 아예 없어 토크도 없다. DJ 또한 처음 방송시 잘 알려지지 않은 SBS 정지영 아나운서였다.
여기서 정지영 아나운서는 비록 연예인은 아니지만 그만큼의 카리스마를 발휘하고 있다. 차분하면서도 달콤한 목소리, 따뜻하고 아기자기한 진행은
청취자들을 바로 게스트로 초대하고 있는 것이다.

상품이 없는 <스위트 뮤직박스>는 음악만을 들으려는 사람들로 더욱 붐비고 있다. 가끔 새로운 음반이 나오면 알게 모르게 청취자에게
보내주기도 한다지만 가끔 있는 일이다.


‘정지영 정권’, ‘달콤목욕탕’, ‘달콤가족’

<스위트 뮤직박스>를 처음 기획했던 김동운 PD는 이 프로에 별 기대를 하지 않았음을 솔직하게 고백했다. 그러나 한 통신공간에
띄워져있는 칭찬 일색의 <스위트 뮤직박스> 추천글을 읽고 김PD는 천군만마를 얻은 느낌이었다고 한다.

<스위트 뮤직박스>는 이처럼 청취자들 사이의 입소문을 통해 알려졌다. 특히 새벽에 공부하는 청소년층에서 화제가 되면서 더욱 퍼져
나갔다. 지금은 청취자층이 2, 30대까지 넓어져 라디오를 듣지 않았던 사람들까지 새로 끌어들이고 있다고 현재 <스위트 뮤직박스>를
담당하고 있는 전윤표 PD는 얘기했다.

“이 프로는 새로운 청취자층이 생겨났다는 것에 의미가 있어요. 다른 프로를 계속 듣던 사람이 이 프로로 바꿔 듣는 경우는 드물지요. 그동안
듣지 않았던 사람들이 청취자층이 된 것입니다.”

<스위트 뮤직박스>의 인기는 우후죽순처럼 생겨나는 여러 모임을 봐서도 알 수 있다. 이 프로가 알려질 무렵 정지영 아나운서의
팬페이지 ‘정지영 정권’이 생겨났으며 <스위트 뮤직박스> 홈페이지 동호회인 ‘달콤목욕탕’은 벌써 36,000의 회원들이 있다.
또한 ‘달콤가족’이란 말이 생겨나 계속 늘어나고 있는 청취자들을 하나로 묶어 주고 있다.


“끝까지 음악으로 승부한다”

요즘 <스위트 뮤직박스>는 눈코 뜰 새 없이 바쁘다. 벌써 2회의 공개방송을 마쳤고 지금은 수능 수험생을 위한 3회 공개방송을
준비하고 있다. 또한 청취자들과 함께 선곡한 <스위트 뮤직박스> 앨범발매를 눈앞에 두고 있고 12월에는 <마음이 예뻐지는
시>코너에서 소개된 시들을 모아 시집도 발간할 계획이다. 심야 라디오프로가 공개방송, 음반, 시집까지 낸 경우는 아주 드물다. 그러다
보니 이를 보고 상업적이라는 비판의 목소리도 높다.

첫 방송 때 10통이었던 편지는 이제 1000통이 넘어가고 인터넷사연까지 가세해 멘트시간도 좀 늘었다. 광고도 29개나 들어간다. 그래서
멘트도 없고 광고도 없던 점에 매력을 느낀 청취자들의 불만이 이만저만이 아니다.

<스위트 뮤직박스>의 상업화와 거대화, 그리고 예전과 같지 않음을 우려하는 청취자들에게 전 PD는 이렇게 당부했다.

“<스위트 뮤직박스>는 처음의 모습을 지켜나갈 것입니다. 숨겨져 있는 음악, 묻혀져 있는 음악을 소개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을
거예요. 공개방송이나 앨범, 시집은 청취자들과 더욱 가깝게 만나고 이야기하고 싶어서 계획한 것입니다. <스위트 뮤직박스>가 이렇게까지
발전하게 된 것은 바로 청취자들이 도와줬기 때문이죠. 멘트나 광고시간이 길어도 참고 들어주고 기다려 주셨으면 해요. 이 프로를 지켜나가기
위해서요.”









인 터 뷰

“처음처럼 속닥하고 따뜻한 느낌 주고 싶어요”


<스위트 뮤직박스>를 만나 행복하다는 ‘달콤DJ’ 정지영


<스위트
뮤직박스>가 높은 청취율을 유지하게 된 데에는 DJ 정지영 아나운서의 역할이 컸다. 달콤하나 가볍지 않은 목소리를 가진
그녀. <스위트 뮤직박스>의 달콤DJ를 만나보았다.


- <스위트 뮤직박스>의 인기비결은?

음악선곡에 있죠. 처음부터 음악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정통FM이라고도 해요. 멘트는 가급적 줄이고 세 곡을 연달아 틀었죠.
그랬더니 첫 방송할 때 열 장 오던 엽서가 이제는 천 장이 되었어요.



- 가요중심으로 선곡하는데 특별한 이유라도 있나요?


12시부터 2시간 방송하는데 이 시간에 깨어있는 사람들이 10대후반에서 20초반이라고 예상했었어요. 이왕이면 댄스음악보다는 숨겨져
있는 더 많은 가요를 들려주려고 했고요. 그런데 이제는 밤에 연구실에서, 병원에서 일하는 사람들, 그리고 고3 수험생 부모님들까지
사연을 보내주시더군요. 30, 40대까지 청취자층이 넓어진 거죠.



- 공개방송, 앨범발매 등은 어떻게 준비하게 된 것인가요?

청취자들의 요구였기도 했지만 감사하는 마음을 표현하고 싶었어요. 절대 규모를 키우려고 하는 것이 아니죠. 청취자들과 만날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하고 싶었던 마음이 제일 컸어요. 그 마음이 통했는지 공개방송 장소의 400석이 가득 찼답니다. 앨범같은 경우에는
청취자들이 직접 선곡했구요.



- 앞으로 <스위트 뮤직박스>의 모습은?


처음의 모습과 같아요. 멘트보다는 음악선곡에 신경써서 숨어있는 곡을 들려줄 겁니다. 그리고 실연의 상처와 진로 고민 등으로 힘들어
하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들어줘야겠죠. 청취자들에게 속닥하고 편안한 느낌을 주는 라디오 프로로 남고 싶어요.






이혜선 기자<www.sisa-news.com>

시사뉴스 webmaster@sisa-news.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