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피시설의 입지 갈등과 중첩적 합의 모색

2017.01.20 18:25:48

[진명두 연천군 종합민원과장] 지역주민 및 지역 정치가들은 그들의 지역사회 내부 또는 근처에 주민기피시설이 들어서는 것을 격렬하게 반대하고 있다. 교도소, 마약중독자 치료센터, 양육능력없는 부모를 가진 병든 아이들의 보호시설, 보호 감호소, 고가도로와 청소트럭 차고, 쓰레기 소각시설, 그리고 무의탁자들이 거쳐할 곳 등을 찾아내는 것은 여간 어려운 일이 아니다.


님비( NIMBY ) 현상은 이제 도시가 도시로서 제대로 기능하기 위해서 필수적인 시설들을 세우거나 입지하는 것을 거의 불가능하게 만들고 있다. 만일 행정부나 입법부의 지도자들이 두려움과 의심 등으로 이와 같은 님비현상에 적절하게 대처하지 못하면, 우리는 새로운 봉건제로 회귀하게 될 것이다. 그 방벽이 전 세계에 드리우게 되는 바로 그 순간, 우리는 우리 자신들이 님비라는 담에 의해 보호되는 봉건봉토의 상상 속의 안전으로 나아가고 있다는 것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위 인용문은 1977년부터 1987년까지 12년간 뉴욕시 시장을 역임했던 Edward I. Koch가 시장직을 떠나기 몇일 전인 1989년 12월 26일에 한 경고성 발언 내용이다.  (Dear , 1992 : 288 )


이 글은 현대 도시생활의 속성상 다양한 서비스 시설에 대한 의존이 필수적인데, 그 서비스 시설들 중 일부는 근린 주민들의 반대로 인해 입지할 곳을 찾지 못하고, 결과적으로 그와 같은 서비스가 필요한 시민들이 큰 어려움에 처하게 될 것임을 지적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 서비스 시설의 속성상 소수의 장소에 대규모로 공급하는 것이 다수의 장소에 소규모로 공급하는 것보다 사회 경제적, 환경적, 위생적 측면에서 효율적임에도 불구하고 그와 같은 방안을 택하기가 점점 더 어렵다는 것을 세계적인 도시인 뉴욕시 시정의 책임자였던 입장에서 간접적으로 피력하고 있는 것이다 ( 갈등관리론 , 경북대학교 출판부 : 74) 님비현상은 뉴욕시 문제만이 아닌 경기 북부 각 지자체내에 산재된 문제이다.


광역화장장을 설치하려던 포천시와 연천군도 근린지역 주민들의 반대로 계획조차 철회하고 말았다. 사회전반적인 장례문화는 매장 문화에서 화장 문화로 빠른 속도로 변화하고 있는데, 지역주민의 반대로 행정서비스 시설제공은 못 미치고 있는 것이다. 쓰레기 소각장도 연천군의 경우 근린주민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장시간에 걸친 이해와 협조로 쓰레기 소각장을 설치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인접 시 동두천시는 쓰레기 소각장이 없어 타지자체로 위탁 처리하는 실정이다. 연천군의 경우 쓰레기 소각량의 자체발생량이 부족하여 소각장 가동율이 63%(1/25톤)로 밖에 운영을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쓰레기 소각장 시설설치에 따른 비용 대 편익( C/B )에 있어 사업비 투입 대비 편익비가 적게나오는 문제로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인근 지자체와 협의에 의한 쓰레기반입으로 가동율 100%(1일/40톤)까지 올려야 하는 것을 검토할 단계에 와있다. 인근지자체의 쓰레기처리문제도 도움을 주고 연천군의 쓰레기 소각장 가동율도 높여 가동에 따라 생산되는 스팀에너지의 판매수입을 극대화하여 근린주민들의 복지증진 예산투입으로 활용한다면, 상생의 협력으로 보다 나은 지역발전을 가져올 것으로 보여 진다.


이제 님비현상에 의한 근린지역주민들의 반대를 우려하지 말고 우리가 함께 살아가야할 공동체적 입장에서 님비시설의 입지로 상대적 피해를 보는 근린지역주민들의 최소화된 지역을 선정하고 소수의 장소에서 대규모로 공급하는 원칙과 그린 지역주민들에게 특별한 희생에 대한 보전방향에 대해 지방정치인. 지역 언론인, 지역 지도자들은 앞장서서 이해와 설득을 통한 합의점 도출에 전도사가 되어야 할 것이다. “화합하면 발전하고 분열하면 쇠퇴한다”는 어느 사학자의 말이 생각난다. 2017년 정유년 붉은 닭띠 해 다시 한번 한마음 한 뜻으로 화합하여 70년대 보릿고개를 이겨 냈던 잘살아보기 운동인 새마을 운동처럼 세계정상국가 (G7)에 들어갈 수 있는 목표를 가지고 함께 손잡고 정진하는 원년이 되었으면 한다.

진명두
Copyright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박정민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4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