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시 만나기 위해 행복하게 이별하기
‘너를 보내는 숲’은 죽음이라는 어쩔 수 없는 운명 앞에서 어떻게 이별할 것인지, 아름다운 이별법에 대한 나오미 감독의 성찰과 고민이 담겨진 영화다.
사고로 아들을 잃고 시골 요양원에서 간병인 일을 시작한 마치코. 아들의 죽음이 자기의 책임인 것만 같이 생각되는 마치코는 죄책감으로 매일같이 자신을 책망한다. 마치코는 요양원에서 죽은자의 기억을 안고 있는 또 다른 사람을 만난다. 33년 전 아내를 잃은 시게키라는 치매에 걸린 노인이다. 그는 아내 마코와의 행복했던 추억을 유일한 기억으로 삶을 지탱한다. 아내 마코의 무덤을 찾아 떠나는 시게키의 여행길에 마치코가 동참한다. 일본 불교에서 33주기 기일이 되면 죽은 이는 이승을 완전히 떠나 부처의 세계로 들어가게 된다고 믿는다. 이 때문에 시게키는 아내의 무덤을 찾아 나서는 것이다. 늘 자신의 곁에 있다고 믿었던 아내의 영혼을 이제 떠나보내기 위한 의식을 치르려는 것이다. 마치코는 이런 그를 지켜보며 영혼과 영혼의 교감에 대한 의미를 깨닫는다.
사랑하는 이와의 이별을 어떻게 받아들이고, 어떻게 이별해야 할 것인가. 그리고 이별은 우리에게 생에서 어떤 의미가 있을까. 영화는 죽음을 통해서 삶과 사랑에 대한 질문을 던진다. 그리고 영화는 서로 영혼의 교감이 있다면 그 또한 살아있는 것이라는 메시지를 조심스럽게 건넨다. 영적 교감을 나누고 있으므로 가슴 아픈 이별 앞에서도 행복한 눈물을 흘릴 수 있다. 이 같은 감성적 메시지가 수많은 이별을 겪을 수밖에 없는 필연 속에 놓여진 모든 이들에게 묘한 위로를 안겨준다.
그들은 왜 숲으로 가는가
영혼의 교감은 곧 구원이기도 하다. 죽음과 이별, 영혼의 교감은 곧 자연의 순리이기도 하다. ‘너를 보내는 숲’에서 가슴 벅차게 펼쳐지는 아름다운 자연의 모습은 이 같은 의미를 담고 있다. 상실감을 겪는 두 인물이 숲 속을 걷는 장면은 희망의 메시지로 충만하다. 푸른 녹차밭, 눈부신 햇살, 숲을 흔드는 한 줄기 바람의 영상적 이미지는 더없이 감성적이고 희망적인 것이다.
시게키의 아내 무덤을 찾나 나선 그들은 쉽게 길을 찾지 못한다. 그들이 이별에 대한 해답을 쉽게 찾지 못했던 것처럼 숲을 헤매고 속내를 보이며 서로 교감할 때, 즉 자연의 질서와 생명의 순리를 깨달았을 때 아픔에서 자유로워지는 것이다. 숲에서 이들은 추억을 묻고 영혼과 영혼의 새로운 관계로 만난다. 슬프지만 아름다운 이 이별법은 역설적으로 삶과 인간 사이 교감이라는 삶의 의미에 대한 예찬이 되기도 한다. 그리고 공통된 상실감으로 교감하는 살아있는 두 사람의 우정 또한 인간관계의 희망에 대한 감독의 긍정을 다시 확인시켜 준다.
다큐멘터리 출신 감독답게 극영화에서도 독특한 리얼리티를 선보이던 나오미 감독은 이번 영화에서는 보다 극적 감성을 만들어내는 새로운 시도들을 보여줬다. 자연의 소리를 인위적 작업 없이 논픽션적으로 들려주던 기존 작업 방식도 거부하고 ‘너를 보내는 숲’에서는 영화 사운드의 대부분을 재창조하기도 했다. 리얼리티만으로는 행복해질 수 없다는, 그리고 리얼리티만으로는 진실을 전달하기 부족하다는 감독으로서의 진일보한 성찰이 아닐까란 생각이 들게 하는 영화다.
톡투미
감독 : 카시 레몬즈 출 연 : 돈 치들, 치웨텔 에지오포, 마틴 쉰

아이언맨
감독 : 존 파브로 출연 : 로버트 다우니 주니어, 기네스 팰트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