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정기 기자] 코로나19로 직장인 62.3%가 재택근무를 경험 이중 71.3%는 코로나19 종식 후에도 '재택근무가 가능하다면 그렇게 할것'이라 높은 만족도를 나타냈다.
설문조사는 잡코리아와 알바몬이 직장인 885명을 대상으로 실시 4일 발표됐다.
근무하는 기업별로는 ▲대기업 직장인 중에는 73.2% ▲중견기업 직장인 중에는 68.6% ▲중소기업 직장인 중에는 57.6%가 ‘재택근무를 해봤다’고 답해, 근무하는 기업규모가 클수록 재택근무 경험자 비율이 높았다.
이는 재택근무 인프라와 관련되어 보이며, 향후 기업간 격차 해소에 정부와 사회적인 관심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재택근무를 경험한 직장인들의 재택근무 만족도는 매우 높았다. 조사결과 ▲‘매우 만족했다’는 직장인이 22.0% ▲‘대체로 만족했다(45.7%)’를 포함 응답자 중 총 67.7%가 ‘재택근무에 만족했다’고 답했다.
재택근무 경험자들이 뽑은 재택근무 최고의 장점은역시 ▲‘출퇴근에 소비되는 시간과 비용, 체력소모를 줄일 수 있다는 것’으로 복수선택 응답률 82.9%로 가장 높았으며 ▲‘대중교통 등에서 타인과의 접촉이 줄어 전염병에 대한 불안감이 줄었다’는 점을 꼽은 직장인도 61.9%를 차지했다.
이 외에는 ▲혼자 있는 것 자체로 업무능률이 높아졌다(30.3%) ▲회의나 전화가 줄어 업무집중도가 높아졌다(22.5%) ▲일과 가정의 조화를 실감했다(16.2%) 순으로 장점을 꼽았다.
반면 재택근무 경험자들이 뽑은 재택근무 최악의 단점 1위는 ▲‘돌발상황에 대한 신속한 대처가 어려웠다’는 점으로 복수선택 응답률 55.0%로 가장 높았으며 ▲‘부서원들의 논의가 필요한 일에 대한 회의 운영이 불편했다(41.6%)’는 답변이 다음으로 높았다.
또한 ▲메일/메신저 등 텍스트 기반 소통으로 인해 커뮤니케이션이 원활하지 않았다(36.1%) ▲회사에 출근해서 일할 때보다 업무에 대한 부담이 더 높아졌다(22.5%) ▲회사에 대한 소속감이 떨어졌다(16.5%) 순으로 단점이라는 답변이 있었다.
재택근무를 하며 ‘업무집중도’나 ‘업무성과에 대한 부담감’은 회사에 출근했을 때와 비슷하거나 조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사결과 업무집중도는 ▲‘출근했을 때와 비슷했다’는 답변이 37.9%로 가장 높았으며 ▲‘업무집중도가 더 높았다(31.9%)’는 답변이 ▲‘업무집중도가 더 낮았다(30.1%)’는 응답자보다 소폭 많았다.
한편 재택근무의 효율을 위해 필요한 것은 무엇인지에 대한 응답은 ▲‘자택 내에 근무장소 등 근무환경을 조성하는 것’을 꼽은 직장인이 55.0% ▲상사나 동료와의 상시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메신저(49.0%) ▲관리자의 원활한 업무 피드백(40.5%) 순으로 답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