외계인 남편과 지구인 아내의 불륜

2009.09.14 15:09:09

일상에 너무나 익숙해지면 그것이 일상인지조차 모르는 경우가 있다. 하지만, 어느 날 우연히 하늘에서 개구리비가 내린다면 그건 일상일까, 일상에 끼어든 판타지일까. 영화 ‘지구에서 사는 법’은 바로 이런 의문점에서 출발한 영화다.
소통 없는 부부의 관계회복
공무원 아내에게 경제적으로 의지하며 살아가는 시인 연우는 외계인이다. 지구인 아내와 소통이 단절된 채 오랜 권태기로 고통스러워하던 연우는 우연히 자신과 텔레파시가 통하는 여인 세아를 만나게 된다. 한 편 지구인 아내 혜린은 남편에게 자신이 비밀정부요원이라는 사실을 숨긴 채 생활하고 있다. 그러던 어느 날 그녀에게 첫 암살 지령이 내려진다. 암살 상대는 연우와 묘한 관계에 빠진 세아. 혜린의 상사이자 불륜상대인 한 실장은 갈등하는 혜린을 재촉한다.
영화 속 주인공인 연우와 혜린은 권태기를 맞기 시작한 30대 중반의 부부다. 이들에겐 아이도, 소통도, 심지어 서로에게 건네는 따뜻한 미소조차 없다. 각자에게 새로운 애인이 생기면서 두 사람 사이에는 같이 있는 것조차 낯설고 어색할 만큼의 거리가 생겨버렸다. 대화가 절대적으로 부족한 가운데 애인까지 생겨버린 상황에서 두 사람이 앞으로 어떠한 액션을 취할 것인지가 가장 궁금한 대목이 될 것이다. 영화 ‘지구에서 사는 법’은 소통이 없는 권태기 부부의 사랑과 관계회복에 대한 메시지를 담고 있는 영화다.
비일상적인 것이 일상 속에 드러났을 때
‘지구에서 사는 법’은 피 한 방울 섞이지 않은 생면부지의 사람들이 대안가족을 이루게 되는 해프닝을 유쾌하게 풀어낸 ‘다섯이 너무 많아’, 이제 갓 스무 살이 된 주인공에게 남아 있던 가족마저 해체되는 현실을 담담히 보여준 ‘나의 노래는’에 이어 안슬기 감독의 세 번째 가족의 관계에 대한 영화라 할 수 있다.
부부라는 가족관계에서 가장 매력적인 소재는 불륜이다. 불륜을 그린 영화가 매력적인 이유는 결혼이라는 제도하에 금기된 사랑을 보여줌과 동시에 인간내면 깊숙이 존재하는 일탈에 대한 욕망을 자극하기 때문이다. 이 때문에 과거에서 지금까지 불륜을 소재로 한 영화는 국내외를 막론하고 꾸준히 만들어져 왔다. 그리고, 현실에 발을 디딘 리얼리티를 드라마라는 장르 안에서 충실하게 보여주는 것이 대부분이었다. 하지만, ‘지구에서 사는 법’은 불륜이라는 말랑한 내피에 SF미스터리라는 장르적 외피를 덧입혀 기존 불륜영화의 전형성을 탈피하며 이 영화만의 유니크함을 획득하고 있다. 외계인 남편과 지구인 아내의 불륜이라는 독특한 설정은 그 동안 보아왔던 불륜영화와 가장 차별화되는 부분으로 지구 밖으로 마구 뻗어나가는 영화적 상상력을 가장 잘 보여주는 대목이기도 하다.
이 같은 장치는 일상에 스며든 판타지, 즉 비일상적인 것이 일상 속에서 드러났을 때의 낯섦과 특별함, 그리고 그것들을 한 꺼풀씩 걷어냈을 때 드러나는 또 다른 모습에 대해 생각하게 한다.
새로운 형식적 시도
현직 고등학교 교사로 재직 중에 있으며 늘 방학을 이용해 영화를 찍는 독특한 이력을 가진 안슬기 감독은 탄탄한 스토리텔링과 인간을 바라보는 남다른 시선이라는 변함없는 장기를 보여주면서도 ‘지구에서 사는 법’을 통해 새로운 도약을 예감케 한다.
‘다섯은 너무 많아’와 ‘나의 노래는’을 통해 인간사이의 관계와 소통에 대해 이야기했다. 두 편 모두 보편적이고 평범한 인생을 따스하게 바라보는 시선 속에 감독 특유의 위트가 담겨있는 작품이다. 하지만, 신작 ‘지구에서 사는 법’에서 안슬기 감독은 조금 색다른 외도를 선택한다. 불륜이라는 소재에 SF적인 요소를 끌어들여 뻔한 이야기들을 낯설게 그리고 통속적으로 꾸며 놓는다. 소통과 관계라는 전작의 주제를 이으면서도 그 주제를 독특한 형식에 담아냈다는 점에서 영화 ‘지구에서 사는 법’은 새롭게 변신을 시도한 작품이다.
일상에 대한 예리한 시선이 돋보이는 홍상수 감독의 작품들이나 일상의 판타지를 자신만의 개성으로 잘 보여주는 미셸 공드리의 작품들을 떠올리게도 한다. 새로운 형식미로 변신을 시도하며 안슬기 월드는 점차 확장하고 있다. 바로 안슬기 감독의 신작이 기대되는 이유다.

미래를 걷는 소녀
감독 : 코나카 카즈야 배우 : 카호, 사노 카즈마
SF작가를 꿈꾸는 평범한 여고생 미호는 어느 날 빌딩 계단을 내려가던 중, 갑작스런 지진에 놀라 핸드폰을 떨어뜨리고 만다. 광채에 휩싸인 채 사라진 핸드폰은 백여 년의 시간을 뛰어 넘어 1912년, 소설가를 지망하는 미야타 토키지로라는 소년 앞에 떨어지게 된다. 상황을 이해 못해 티격태격하던 두 사람은 점차 서로의 꿈과 고민을 공유하며 마음을 나누기 시작한다. 결코 만날 수 없는 둘을 연결해 주는 것은 점점 닳아가는 배터리의 핸드폰 뿐. 그러던 어느 날 당대 최고의 작가인 나츠메 소세키의 문하생인 토키지로는 100년 후를 살고 있는 미호에게 자신의 미래에 대해 알아봐 줄 것을 부탁하게 된다.

하바나 블루스
감독 : 베니토 잠브라노 배우 : 알베르토 요엘, 로베르토 산마르틴, 일렌 시에라
쿠바의 하바나. 무명 뮤지션인 루이와 티토는 아무것도 가진 것 없고 생활고에 시달리지만 음악에 대한 열정 하나만으로 살아가는 젊은이들이다. 자신들의 열정을 담은 첫 콘서트를 기획하던 중 실력 있는 신인을 찾으러 온 스페인의 유능한 음반 프로듀서를 만나게 되고, 스페인으로 스카우트 제의를 받게 된다. 꿈에 부풀은 두 사람은 평생 나가보지 못했던 쿠바를 떠나 큰 무대에서 활동할 수 있다는 설렘으로 음반 준비를 시작한다. 그러나, 자신들의 계약이 노예계약과 다름없다는 사실을 알게 되면서 루이와 티토는 고민에 빠진다. 루이는 부인과도 이혼의 위기에 놓이고 나라를 버려야 한다는 사실이 마음에 걸리지만 티토는 자신들의 인생에 찾아온 절호의 기회를 잡아야 된다고 하면서 갈등을 빚게 된다.
시사뉴스 webmaster@sisa-news.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