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여야는 13일 국정감사에서 감사원의 표적 감사 논란,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무용론, 전현희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 거취, MBC 편향성 논란 등을 두고 거센 공방을 이어갈 전망이다.
첫 대결 무대는 전현희 권익위원장의 거취를 두고 벌어질 국민권익위원회을 대상으로 한 국회 정무위원회다.

국민의힘은 문재인 전 대통령이 임명한 전 위원장이 정권 교체 뒤에도 자리를 지키고 있는 자체를 비판한다.국민의힘 간사인 윤한홍 의원은 "정권이 국민의 심판을 받아 교체되면 정무직은 다 나가야 한다"라며 "정무직 공무원은 신분 보장이 없다"며 전 위원장의 사퇴를 압박하고 있다.
반면 더불어민주당은 권익위에 대한 감사원 감사가 지나치다는 입장이다. 황운하 의원은 "(감사원 감사는) 전 위원장을 사퇴시키려는 표적 감사"라며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은 박정희 정권의 차지철이 연상된다"라고 직격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도 국정감사 대책회의에서 "무차별적 불법 사찰을 자행한 감사원은 윤석열 정권의 정치 탄압을 위한 '빅브라더'가 됐다"면서 "공수처 수사 이전에 (최재해) 감사원장과 (유병호) 사무총장의 자진 사퇴를 촉구한다"고 말했다.
이어 윤 대통령을 향해서는 "국정기획수석 경질과 함께 헌법 질서를 뒤흔든 대감 게이트(대통령실-감사원)의 책임을 져야 한다"고 주장하기도 했다.
법사위의 공수처 국감에서도 여야의 공방은 이어질 전망이다. 공수처 출범을 주도한 더불어민주당은 윤석열 정부 감사원과 김건희 여사 등 여권에 대한 신속한 수사를 촉구할 것으로 보인다. 반면 국민의힘은 공수처의 편향성을 지적하고 뚜렷한 수사 성과 등이 없다는 점을 들어 '공수처 무용론'을 다시 꺼내들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앞서 윤석열 감사원이 권익위와 방송통신위원회 등 문재인 정부 관련 인사와 조직에 대해 표적감사를 벌이고 있다며 최재해 감사원장과 유병호 감사원 사무총장을 공수처에 고발한 바 있다. 민주당은 하명수사 의혹도 제기하고 있다.
공수처는 김 여사의 대통령실 사적 채용 의혹과 대통령 해외순방 사적 지인 수행 의혹, 도이치모터스 주가조작 검찰 봐주기 수사 의혹 등의 고발장도 접수한 상태다.
과학기술정보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문화진흥회 국감도 여야간 화력전이 예상된다.
방송문화진흥회는 윤석열 대통령의 미국 순방 중 '사적발언'을 국회 등 자막을 붙여 최초 보도하고 김 여사 대역을 별도 고지 없이 내보냈다가 여권의 집중적인 공세를 받고 있는 MBC 대주주다.
국민의힘은 MBC 보도를 편파조작 방송으로 규정하고 박성제 MBC 사장 등의 사퇴를 요구하고 있다. 반면 민주당은 국민의힘의 행보를 언론 탄압으로 규정하고 민영화저지대책위원회를 출범시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