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국민의힘이 전당대회를 앞두고 당원협의회 재정비와 경선룰 변경에 착수할 예정이어서 당권 경쟁에 새로운 변수가 될 전망이다.
당협 재정비 과정에서 비윤 인사들이 자연스럽게 물갈이될 경우 비윤계 당권 주자들은 큰 타격을 받을 수 밖에 없다.

또 기존 당원투표와 여론조사 비율(7대3)을 조정해 당원의 반영 비율을 더 높히는 방향으로 경선룰이 변경된다면 국민 일반 여론조사에서 1위를 달리는 유승민 전 의원의 정치적 전망은 그야말로 시계 제로상태가 될 수 있다.
18일 국민의힘은 국정감사가 끝나는 대로 조직강화특별위원회(조강특위)를 구성해 공석인 당원협의회 조직위원장(당협위원장) 67곳 공모 절차에 착수한다고 밝혔다. 이준석 전 대표 시절 공모 절차가 마무리된 16개 당협도 공모 대상에 포함할 것으로 확인됐다.
앞서 국민의힘은 지난 5월 지방선거 출마 등으로 공석이 된 전국 28개 선거구의 당협위원장을 공모해 사고 당협 면접심사를 거쳐 16명을 당협위원장으로 내정했다.
하지만 이들에 대한 임명건은 최고위에 상정되지 못했다. 주호영 비대위 출범 이후에도 당내 혼란으로 상정기회를 얻지 못했다.
이번 사고 당협 공모는 합격자 개인의 차기 공천 향배를 넘어 국민의힘 지도체제 향배에 영향을 줄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당대표 선거에서 당원들에게 영향력이 큰 당협위원장을 누가 더 많이 확보하고 있느냐는 당권 경쟁에 영향을 줄 수밖에 없어서다.
정진석 비대위원장이 꺼내든 조강특위와 당무감사 카드가 친이준석계 또는 유승민 전 의원을 견제하기 위한 시도라는 해석이 나오는 이유다.
윤상현 의원은 14일 페이스북에 조강특위 가동과 당무감사는 비대위가 아닌 새롭게 선출된 지도부 몫이라며 반발했다. 정 위원장을 겨냥해선 "피치못한 사정으로 급조된 비대위 지도부 자격으로 '당협대잔치'를 열겠다는 것은 이율배반적 행위가 아닐까"라고 꼬집었다.
경선룰 변경도 논란거리다. 비대위는 차기 당권주자 경선에서 야당 지지층의 역선택을 막기 위해 경선룰 변경이 꼭 필요하다는 입장이다. 당원 투표 반영 비율을 더 높이자는 의견이 커지고 있다.
국민의힘 차기 당권 도전을 고민 중인 조경태 의원은 17일 "당대표 경선방식, 당원 100% 투표로 혁신하자"고 주장했다. 조 의원은 이날 페이스북에 유 전 의원을 '배신자'로 규정하며 "현재 경선 룰은 이런 분을 대표로 앉히게 되는 룰이다. 더불어민주당 개딸들이 우리 대표 선정에 투표권을 가지는 룰"이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