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북한이 18일 심야에 동·서해상 완충구역으로 250여 발의 포병사격을 감행했다. 앞서 14일 도발을 한지 나흘만에 고강도 무력시위에 나선 것이다.
합참은 북한이 어제 10시경부터 서해상으로 100여 발을, 밤 11시경부터는 동해상으로 150여 발 포병사격을 가했다고 오늘(19일) 밝혔다.

합참은 북한의 포병사격에 대해 '9·19 군사합의 위반 및 즉각 도발 중단'에 관한 경고통신을 여러 차례 실시하고 "한미 간 긴밀한 공조 하에 관련 동향을 추적 감시하면서, 만일의 상황에 대비하여 대비태세를 강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동·서해 해상완충구역 내 포병사격은 명백한 9·19 군사합의 위반"이라며 "이러한 북한의 계속되는 도발은 한반도는 물론 국제사회의 평화와 안정을 해치는 행위로, 엄중 경고하며 즉각 중단을 강력히 촉구한다"고 경고했다.
군에 따르면 동·서해 상 낙탄 지점은 '9·19 군사합의'에 따른 NLL 북방 해상완충구역 내이며, 우리 영해에 관측된 낙탄은 없는 것으로 전해졌다.
북한의 포병사격 도발은 지난 14일 이후 4일 만에 감행된 것이다. 앞서 북한은 지난 14일 새벽에 황해도 마장동 일대에서 서해 상으로 130여 발, 강원도 구읍리 일대에서 동해 상으로 40여 발의 포병 사격을 했다. 이때도 탄착 지점이 9·19 합의에 따른 NLL 북방 동·서해 해상완충구역 내로 파악됐다.
이번 북한의 포병사격 도발은 중국의 20차 당대회가 진행 중인 상황에서 감행된 것으로, 이례적이라는 평가다. 일반적으로 중국과 북한은 동맹관계인 만큼, 중국의 당대회 기간에는 도발을 자제할 것이라는 분석이 많았다.
북한은 13일 군용기 위협비행과 단거리탄도미사일(SRBM) 발사에 이어 14일 동·서해 완충구역내 포격 등 몰아치기식 도발을 한뒤 15일 총참모부 명의로 “남조선군의 전방지역 포사격에 대응한 강력한 군사행동 조치”라고 발표한 바 있다.
우리 군의 호국훈련을 핑계 삼아 도발을 감행했다는 분석도 제기된다. 북한의 도발이 한반도 긴장 수위를 높이려는 의도적인 성격인 만큼 연례 진행되는 호국훈련을 구실 삼아 도발을 감행했다는 해석이다.
윤석열 정부의 북한 도발에 대한 강경 대응기조와 이달말 대규모 한미 전투기 260여대가 참가하는 연합 공중훈련에 맞불성 시위로도 해석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