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여야가 19일 국회 교육위원회 국감에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두고 충돌할 것으로 보인다. 국회 교육위원회는 이날 국회에서 서울대 등 국립대와 국립대 병원 등을 대상으로 국감을 진행한다.
특히 서울대 국정감사에서 조국 전 법무부 장관을 둘러싼 쟁점을 두고 여야간에 거센 공방이 오갈 전망이다.

조 전 장관이 서울대에서 직위해제된 후 받은 급여가 쟁점이다. 김병욱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대에서 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조 전 장관은 뇌물수수와 직권남용 혐의 등으로 재판에 넘겨져 2020년 1월29일 직위 해제된 후에도 지난달까지 8,629만원 가량의 급여를 받은 것으로 나타났다.
조 전 장관이 받은 급여액은 최근 6년간 직위 해제된 교수들 가운데 네 번째로 많다. 서울대 교원 보수규정에 따르면 직위 해제된 교원은 첫 3개월간 월급의 50%, 이후에는 30%를 지급받을 수 있다.
이에 대해 서울대 측은 “7월 말 징계 요구를 했다”며 “그때는 정경심 씨 재판에서 나온 근거가 있기 때문에 할 수 있었다. 앞서 징계를 안 했을 때는 사실관계를 파악할 수 있는 방법이 없었다”고 설명하고있다.
입시 비리로 고려대 입학이 취소된 딸 조모씨의 서울대 환경대학원 합격 유지 사실도 도마 위에 오를 것으로 보인다.
정경희 국민의힘 의원이 서울대에서 받은 답변서에 따르면 서울대 환경대학원은 조씨를 등록금 미납으로 학적부에서 이름을 지우는 '미등록 제적' 상태로 둬 대학원 입학 사실을 그대로 유지했다.
국민의힘은 고려대 입학이 취소된 만큼 학부 졸업장이 있어야 지원 가능한 서울대 대학원 입학 자체가 무효라고 주장하며 공세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민주당은 윤석열 대통령 부인 김건희 여사의 논문표절 의혹과 허위 경력 등을 집중 공략할 것으로 예상된다.
김 여사가 국민대 임용 서류 제출 과정에서 경영학석사로 표기했는지 여부가 쟁점이다. 민주당 안민석 의원 은 "전문석사한 사람이 경영 석사라고 말하거나 기재하면 허위 학력 기재나 허위 학력"이라며 검증을 벼르고 있다.
김 여사의 논문 관련 증인 채택을 두고도 여야의 신경전이 벌어질 전망이다. 민주당은 오는 21일 종합감사에 김 여사 논문을 지도한 전승규 국민대 교수의 출석도 강력하게 주장하고 있다. 반면 국민의힘은 여야가 합의한 증인이 아니므로 증인 채택에 동의할 수 없다며 반대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