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이주호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사단법인 아시아교육협회 설립 당시 사교육업체 대표의 출연금을 받아 공동투자해 설립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에 대해 이 후보자 측은 출연금을 받았지만 사교육업체의 이익을 대변하는 활동을 하지는 않았다고 설명했다.

더불어민주당 안민석 의원이 25일 서울시교육청에서 받은 사단법인 아시아교육협회 설립허가 신청서에 따르면 이 후보자는 에듀테크 업체 A씨와 함께 초기 법인 운영재산을 출연했다.
A씨의 재산출연증서에는 A씨가 2400만원, 이 후보자가 1900만원을 아시아교육협회에 무상 출연한다고 적혀있다. 협회가 누리집에 공개한 기부금 모금·활용 명세서에는 A씨가 협회 설립 다음 달인 2020년 5월 2400만원을 기부했다고 명시되어 있다.
아시아교육협회는 교육청에 제출한 설립허가 신청서를 통해 이 후보자와 A씨의 공동 출연으로 조성된 총 4,300만원으로 운영한다고 신고했다. 둘은 이 협회의 공동 발기인으로 참여했다. 아시아교육협회를 만들 때 이 후보자와 A씨가 출연금을 각각 4대 6의 비율로 나눠서 낸 셈이다.
예듀테크 관련 협회 회장을 맡고 있는 A씨는 이 후보자가 서울시교육감 선거에 출마하고 보수 단일화로 사퇴 뜻을 밝힌 이후인 5월11일 이 후보자에게 500만원을 선거 자금으로 후원한 바 있다.
A씨가 회장을 맡고 있는 에듀테크 관련 협회는 사교육분야 유명 업체 등 133개 업체가 회원으로 가입돼 있다. 이에 A씨가 협회 출연금과 후원금 등 이 후보자를 지원해오면서 사교육 업계나 에듀테크 업체의 가교 역할을 한 것이 아니냐는 의혹이 일고 있는 것이다.
안 의원은 "후보자가 장관 퇴임 후 공교육 정상화를 위한 공적 활동을 한 것인지 아니면 사교육업체의 이해와 이익을 대변한 공생을 공적 활동으로 포장한 것인지 후보자의 분명한 해명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교육부 인사청문준비단 관계자는 "엄밀히는 출연금이 아닌 기부금"이라며 "아시아교육협회는 뜻을 함께하는 사람들의 결사체인 사단법인으로, A씨로부터 받은 운영예산을 기부금 관련 법령에 따라 기부금으로 관리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비영리 사단법인의 특성상 일반 회사법인처럼 출연지분에 따라 의결권이 주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모든 회원 각자에게 동등한 의결권이 있으며 무보수 비상근 이사장으로 재직했고 후보자 지명 즉시 이사장 직에서 사임했다"고 말했다.
아울러 "이 후보자가 사교육업체의 이익을 대변하는 활동을 했다는 주장은 사실이 아니다"라며 "협회는 첨단기술을 활용한 맞춤형 교육, 교육혁신을 통한 교육격차 및 불평등 해소를 목적으로 설립됐다"고 해명했다.
앞서 아시아교육협회는 교육 업체로부터 1억원의 기부금을 받은 사실이 알려져 논란이 되기도 했다.
이날 박기석 아이스크림에듀 회장은 기자 간담회에서 “기부금은 회사가 해외 진출하는데 도움 될 것이라고 판단해 낸 것”이라며 “당시 우리 회사 대표가 나에게 협회에 기부해보는 게 어떻겠느냐고 여러 번 제안해서 수락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그분(이 후보자)이 장관을 한 번 했는데, 또 하리라는 생각을 못했다”며 “해외 진출하는데 협회 도움을 받은 것은 없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