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여야가 '이태원 참사' 이후 정쟁을 멈추고 사태 수습에 나선 가운데 일부 가짜뉴스와 유언비어가 온라인상에서 확산하면서 국민의힘이 이태원 참사를 정쟁 수단으로 활용해서 안된다며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다.
30일 남영희 민주연구원 부원장이 이태원 참사가 대통령 집무실 이전 때문에 발생했다고 주장하는 등 야권 일각에서 제기되는 현 정부 책임론이 자칫 윤석열 정부에 대한 불신으로 이어질 것을 우려한 것으로 풀이된다.

양금희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오전 국회 소통관에서 이태원 참사 관련 브리핑 직후 기자들과 만나 '남 부원장의 발언'에 대한 입장을 요청 받고 "논평할 가치가 없는 말이라고 생각한다"고 일축했다.
현재 온라인상에서는 이번 이태원 참사를 둘러싼 여러 유언비어나 가짜뉴스가 확산하고 있다. 온라인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안타깝게 숨진 이들의 모습이나 사고 수습에 나선 경찰·소방 관계자 등의 모습이 적나라하게 드러난 사진이나 영상은 물론 사상자들을 향해 도를 넘는 조롱하는 게시글이 올라오고 있다.
정치권은 한 목소리로 자제를 당부했다. 박정하 국민의힘 수석대변인은 이날 논평에서 "서로에게 위로가 필요한 시기에 누군가를 향한 마녀사냥식 유언비어는 국민에게 혼란만 불러일으킬 뿐"이라며 우려의 목소리를 냈다.
오영환 민주당 원내대변인도 "엄청난 인명 피해에 충격에 빠진 국민의 마음을 깊은 혼란으로 밀어 넣고 있다"며 "과도한 영상 유포와 혐오 표현을 자제하고, 혐오를 부추기거나 낙인을 찍는 행위도 멈추기 바란다"고 촉구했다.
이번 참사는 매년 수많은 인파가 몰렸던 점을 고려하지 않아 발생한 참극이라는 비판 여론도 있다. 많은 시민이 몰릴 것이 예상됐음에도 정부와 지자체의 사전 안전대책이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일각에선 용산으로 이전된 대통령 집무실 인근에 경력이 집중 배치됐기 때문에 인근 이태원에 경찰이 부족했다는 주장도 나온다.
남영희 민주연구원 부원장도 지난달 30일 사회관계망서비스(SNS)에 비슷한 취지의 글을 올렸다. 남 부원장은 "대통령 출퇴근에 투입돼 밤낮 야근까지 고충을 토로하고 있는 경찰 인력이 700명, 마약 및 성범죄 단속에 혈안 돼 투입된 경찰 200명, 모두 용산경찰서 관할 인력"이라며 "백번 양보해도 이 모든 원인은 용산 국방부 대통령실로 집중된 경호 인력 탓"이라고 했다.
이에 대해 권성동 국민의힘 의원은 SNS에 "정부는 추모 기간을 선포하고 사고를 수습하고 있다. 여야도 당분간 정쟁을 멈추고, 초당적으로 협력하기로 했다"며 "현재 온라인 공간에는 가짜뉴스와 유언비어가 퍼지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성숙해야 한다. 국민적 슬픔을 당파적 분노로 전도시켜서는 안 된다. 추모를 정쟁으로 변질시켜서도 안 된다"며 "어느 누구도 타인의 죽음을 정치투쟁의 에너지로 소비할 권리는 없다"고 강조했다.
김기현 의원은 "지금은 희생자들에 대한 애도와 빠른 사고 수습을 위해 힘을 모아야 할 때다. 정치권도 과도한 정쟁을 멈출 것을 제안한다"고 강조했다. 윤상현 의원도 "정부여당, 그리고 야당, 아니 우리 모두가 한마음으로 지금 이순간 할 수 있는 모든 노력과 기도를 다하자"고 제안했다.
장동혁 원내대변인도 이날 '민주당의 선동 시나리오에 국민은 더이상 속지 않는다'는 제목의 논평에서 "손가락질받을 것을 뻔히 알면서도 가면을 뒤집어쓰고 길거리로 나서야만 하는 이 대표와 민주당이 참으로 안쓰럽다. 더 큰 웃음거리가 되기 전에 이제라도 길거리의 천막을 거두기 바란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