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여당이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의 이태원 참사 관련 발언 논란에 노심초사하고 있다. 이 장관이 참사 관련 책임 회피 발언을 했다가 해명하는 과정에서도 선동이란 표현을 사용해 논란을 더 키웠다.
결국 상황이 악화되자 이 장관은 유감을 표명했다. 이 장관의 정무적 판단 미흡이 여당의 우려를 낳고 있는 모양새다.

국민의힘 당권 주자들이 31일 일제히 이 장관을 비판했다. 원내 주자들은 "부적절했다"고 입을 모았고, 원외의 유승민 전 의원은 한 걸음 나아가 파면을 촉구했다. 지도부에서도 비판적 언급이 나왔다.
김기현 의원은 이날 MBC 라디오 '김종배의 시선집중'에서 관련 질문을 받고 "국민들의 아픔을 이해하고 동참하는 모습이 아닌 형태의 그런 언행은 조심했어야 한다"고 답했다.
김 의원은 이어 "사람이 10만명 모인다는 얘기가 있었기 때문에 사전에 교통대책(을 마련하고), 안전을 위해 통행을 제한하거나 현장에서 사람이 밀집하지 않도록 대책을 세웠어야 한다는 점에서 굉장히 소홀했던 것"이라고 덧붙였다.
조경태 의원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에 나와 "너무도 슬프고 참담한 심정인데 해당 장관의 발언 한마디가 이런 논란을 빚게 하는 것은 유감스럽다"며 "제가 듣기에는 설득력 있는 표현은 아니었다고 생각한다. 조금 더 스스로 책임감을 가지고 무겁게 이 문제를 들여다보는 것이 좋겠다"고 밝혔다.
윤상현 의원은 페이스북에 "이 장관 발언이 책임회피 아니냐는 논란이 있고, 저도 아쉽게 생각한다. 공직자는 국민에 대해 무한책임을 가져야 한다"며 "안전을 책임진 행안부 장관은 책임을 다하지 못한 죄송함을 표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윤 의원은 다만 "살아남은 우리가 할 일은 비난할 대상을 찾는 것이 아니라, 분노의 고리를 끊고 집단적 외상후스트레스증후군(PTSD)에 빠지지 않도록 서로를 위로하고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라며 정치적 처벌보다는 치유가 우선이라고 강조했다.
원외에서 윤석열 정부 비판에 날을 세워온 유 전 의원은 파면을 주장했다. 그는 "철저히 잘못을 규명하고 책임을 묻고, 앞으로 어떻게 이런 인재(人災)를 막을 것인지 정해야 한다"며 "국가가 왜 존재하나. 위험할 정도로 인파가 몰릴 것을 예상하고 사전에 대비했어야 한다. 경찰이든 지자체든 그게 정부가 했어야 할 일"이라고 적었다.
그러면서 "'경찰을 미리 배치한다고 해결될 문제가 아니었다', '선동성 정치적 주장을 해서는 안 된다'고 말한 장관부터 당장 파면해야 한다"고 이 장관 경질을 촉구했다.
이태원 참사 책임론’에 선을 긋고 있는 이 장관의 입지가 날로 좁아지고 있다. 경찰청 특별수사본부(특수본)가 행안부에 대한 강제수사에 착수했고, 참사 유족들은 이 장관을 직접 비판하고 나섰다.
참사 이후 이 장관을 둘러싼 논란은 끊이지 않았다. 참사 다음날인 지난달 30일 “경찰 병력을 미리 배치했어도 해결될 문제는 아니었다”고 책임 회피성 발언을 한 것은 시작에 불과했다.
하루가 멀다 하고 비슷한 종류의 설화가 이어졌다. 전날에는 행안부가 참사 유족들의 명단을 확보하고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참사 유족들의 정보에 대해 “연락처는 물론이고 명단조차도 가지고 있지 않다”던 이 장관의 국회 발언은 거짓말이거나 기초적인 사실 확인도 거치지 않은 발언인 것이다.
당시 이 장관은 “위원들께서 국무위원이 하는 말을 왜 그대로 받아들이지 않으시고 자꾸 거짓말을 한다고 생각하는지 모르겠다”고 말하기도 했다.
비단 공감능력의 부재에서 비롯된 설화와 책임 회피성 태도만이 문제가 아니다. 공무상과실치사상 등 혐의의 피의자로 입건된 이 장관이 현직에 있는 것 자체가 제대로 된 수사와 진상규명에 방해가 된다는 지적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