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더불어민주당이 서서히 대여 공세 수위를 끌어 올리고 있다.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과 박희영 용산구청장의 실언에 이어 경찰청의 112 녹취록 공개에 따른 늑장대응 등이 드러나면서 진상규명과 정부 책임론으로 전환하고 있다.
민주당은 이틀째 이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 파면을 요구하는 등 공세 수위를 높이고 있다. 나아가 당 내에선 국회 차원 대응 필요성과 국정조사, 특검 등 구체적인 방법론까지 거론되기 시작했다.

다만 지도부는 일단은 한 발 떨어져 여론의 추이를 지켜보겠다는 입장이다. 국민 안전을 지켜주지 못하는 국가의 무능에 대한 국민적 분노가 커질 경우 국조와 특검을 여권에 압박하겠다는 의도로 보인다.
이태원 참사에 대한 ‘정부 책임론’ 제기와 윤석열 정권의 ‘정치 탄압’ 투쟁, 투트랙으로 대여 공세 전략을 잡은 분위기다. 민주당은 이번 참사의 근본적 책임에 윤석열 정부가 있음을 명확히 하며 국정조사 요구에 더해 특검 도입까지 주장할 태세다.
이재명 대표는 지난 2일 최고위원회의에서 "책임을 덜어내기 위해 사건을 축소·은폐·조작하는 것은 결코 용서받을 수 없다"며 정부와 고위 책임자들의 부적절한 언행을 일일이 지적했다.
우선 "사태 수습에 총력을 다해야 할 한덕수 국무총리가 어제 외신 기자간담회에서 농담을 했다"며 "농담을 할 자리냐"고 쏘아붙였다.
이 대표의 발언을 필두로 최고위원과 원대대표, 의원들이 이 장관과 윤희근 경찰청장의 파면을 거론하고 나섰다.
정청래 최고위원은 "이태원 참사의 최종 책임자는 당연히 윤석열 대통령"이라며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윤희근 경찰청장도 즉각 파면해야 한다"고 밝혔다.
이수진 의원(동작을)도 페이스북을 통해 "경찰 통제에 실패한 책임이 너무도 크다"며 "경찰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주장하며 경찰국장을 신설했던 이 장관을 즉시 경질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이에 국회 차원 대응 필요성과 국정조사, 특검 등 구체적인 방법론까지 언급되는 상황이다.
박홍근 원내대표는 지난 1일 기자들과 만나 "국회에서 상임위·예결위 등을 통해, 필요하다면 그 이상의 국회법이 허용하는 방법을 통해 모든 사실관계를 파헤칠 것"이라고 말했다.
김두관 의원은 페이스북을 통해 "민주당이 이 참사에 진정으로 애도하는 최선의 길은 모든 상임위를 가동해 진상을 철저히 파헤치고 국정조사와 특검을 추진하는 것"이라고 했다.
지도부는 국정조사와 특검을 요구하는 당내 목소리의 취지에는 공감하면서도 구체적인 방법론에 대한 언급은 피했다.
현재는 한덕수 국무총리의 사퇴를 포함한 국정의 전면적 쇄신을 요구하고 있다. 이재명 대표는 이날 “국가가 제대로 기능하지 못하고 정부는 어디에 있는가를 국민들께서 묻고 계신다”며 “총리 사퇴를 포함해서 국정의 전면적인 쇄신이 반드시 필요하고 이것이 바로 책임을 지는 첫 번째 출발점”이라고 강조했다.
박홍근 원내대표도 윤석열 대통령을 향해 “총리 경질과,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 윤희근 경찰청장 등의 파면은 물론이고 대통령실과 내각의 전면적 쇄신을 즉각 단행해야 한다”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