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미국 국무부가 꾸준히 제기돼 온 북한의 7차 핵실험 전망과 관련, 정치적 결정만 남았다는 기존 평가를 재확인했다.
곤잘로 수아레스 국무부 국제안보·비확산 담당 부차관보는 3일(현지시간) 외신기자 브리핑에서 "오늘 아침까지 북한은 50개 이상의 탄도미사일을 발사했고, 여기에는 6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이 포함된다"라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북한은) 핵실험을 수행할 준비가 돼 있으며, 오직 정치적 결정만을 남겨두고 있다"라고 했다. 이어 "북한의 무모한 행동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라며 "우리는 한반도의 완전한 비핵화를 지지한다"라고 했다.
북한과 전제 조건 없는 대화에 임할 준비가 돼 있고, 적대적 의도를 품지 않았다는 기존 입장도 되풀이했다. 수아레스 부차관보는 그러나 "북한은 계속해서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WMD)·탄도미사일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제재를 회피한다"라고 지적했다.
이런 상황에서 그는 "우리는 확산자들이 그들 행동에 책임을 지게 되리라는 점, 그리고 우리가 그들 노력을 방해하기 위해 할 수 있는 모든 일을 하리라는 점을 알게 해야 한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나와 내 팀은 북한의 불법 활동에 대응하고 정권에 그들 활동의 책임을 물으며, 유엔이 금지한 무기 프로그램을 확대하지 못하도록 하기 위해 모든 가용한 도구를 사용하는 데 전념한다"라고 했다.
이런 맥락에서 국무부는 이날 북한으로의 불법 석유 선적 및 북한 선박 환적 운송 등을 지원한 싱가포르 국적자 궉키셍(Kwek Kee Seng)을 상대로 최대 500만 달러(Kwek Kee Seng) 현상금을 내걸기도 했다.
수아레스 부차관보는 다만 북한의 도발 지속에 따른 추가 제재 준비 관련 질문에는 "우리는 시행되기 전에는 어떤 제재도 예고하지 않는다"라고 말을 아꼈다. 그러면서도 "우리는 확실히 빈발하는 미사일 발사를 관찰 중"이라고 했다.
아울러 "북한의 확산 위협은 다양한 국가의 관심사"라며 유엔 모든 회원국이 안전보장이사회 대북 결의안을 준수해야 한다고도 했다.
이어 "러시아도, 중국도 그런 의무를 면제받지 못한다"라며 "중국과 러시아가 보다 적극적인 목표를 갖고 북한과 관련된 확산을 저지한다면 유용할 것"이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