붕괴 직전의 삶을 응시하다

2010.02.03 15:02:02

이터널 선샤인 으로 아카데미 각본상을 수상했던 찰리 카우프만의 감독데뷔작 ‘시네도키, 뉴욕’은 61회 칸영화제 경쟁부문에 초청되며 처음 선을 보였다. 영화가 공개되고 평단과 관객은 도전과 그 성공에 찬사를 보냈다. 이후 이 영화는 토론토, 시카고, 오스틴 등 북미 영화제뿐만 아니라 런던, 시체스, 리오 데자네이루 등 전세계 유수의 영화제들에 연이어 초청됐다.
사적이며 진지한 동시에 유머러스한 시선
죽을지도 모른다는 불안감을 가지고 사는 연극연출가 케이든. 교외에서 지역 극장을 운영하는 그의 삶은 황량해 보인다. 화가인 아내 아델은 자신의 경력을 쌓고자 어린 딸 올리브를 데리고 그를 떠나버린다. 묘하게 솔직해서 마음이 끌리는 극장직원 헤이즐과의 새로운 관계는 제대로 시작하기도 전에 끝나고 만다. 그러던 어느 날, 인생의 무상함에 괴로워하던 그에게 거대한 연극무대를 올릴 일생의 기회가 찾아온다. 그는 뉴욕의 창고에서
실물 크기의 도시를 만들어 잔인하리만큼 정직하고, 진실된 인생을 그려볼 계획을 세운다. 하지만 연극 속의 삶과 케이든의 실제 삶의 경계가 뒤엉키며 그가 맺은 모든 관계들은 한계에 다다르게
된다.
찰리 카우프만은 아카데미에 수 차례 노미네이트 끝에 ‘이터널 선샤인’으로 수상의 영광을 이룬 천재 각본가로 널리 알려져 있다. 그의 손을 거쳐간 작품은 ‘존 말코비치 되기’ ‘휴먼 네이쳐’ ‘컨페션’ ‘어댑테이션’ 등으로, 확고한 그만의 작품영역을 선보이며 전 세계 영화팬들의 사랑을 받아왔다. 그는 최신작 ‘시네도키, 뉴욕’을 내놓으며 성공적인 감독 데뷔를 이뤘다.
카우프만 특유의 붕괴직전의 삶을 아슬아슬하게 살고 있는 인물에 대한 묘사가 인상적이다. 연극연출가 케이든은 사실적이고 인간적으로 그려져 있다. 화가인 아내는 그를 떠나버리고 뜻하지 않은 질병에 시달리며, 언제라도 죽을지 모른다는 불안감에 휩싸여있던 그는 인생에서 중요한 그 무엇도 이루지 못할 것이라는 공포를 느낀다. 결국 그는 끈질기게 붙잡고 있던 관계들과 엉켜버린 삶마저도 모두, 새로 준비하는 연극에 걸게 된다. 시적이며 진지한 동시에 감동적인 삶에 대한 응시는 실제의 삶과 허구로 대표되는 연극 속의 삶이 혼재되면서 더욱 새로운 스타일을 보여준다.
필립 세이무어 호프만의 불꽃 튀는 연기
그 독특한 스타일과 스토리의 원천이 바로 찰리 카우프만의 힘이었다면, 이 영화가 진정성을 가질 수 있도록 만들어준 데는 중심인물인 케이든을 연기한 필립 세이무어 호프만의 불꽃 튀는 연기가 있었기에 가능했다 하겠다. 영화 ‘카포티’로 아카데미, 골든 글로브, 미국배우조합상에서 남우주연상을 거머쥐었던 실력파 배우인 그는 최근작인 ‘악마가 너의 죽음을 알기 전에’ ‘다우트’를 통해 국내 영화팬들에게 강렬한 인상을 남기기도 했다.
‘시네도키, 뉴욕’은 죽음, 질병, 절망, 고독, 관계의 문제, 형이상학, 그리고 삶을 다루는 영화지만 이 같은 심각한 감정을 다루면서 이상한 식으로 웃기기도 한다. 특정한 메타포가 읽힌다면 좀 더 읽어내려 할 수도 있지만 그럴 필요는 없다. 감독이 의도한 대로라면 영화는 다양한 층위로 작동하고 관객들은 영화에서 자신이라는 출발점에 따라 상이한 것들을 읽어낼 수 있기 때문이다. 카우프만 작품의 독특한 측면은 그가 판타스틱한 것들과 깊이 느껴지는 감성을 혼합한다는 것이다. 같은 독특함은 그가 영화적 장치의 하나로 사용한다 할 수 있는 ‘꿈’이라는 요소를 통해 찾아볼 수 있다. 카우프만의 스토리텔링은 재미있긴 하지만 그렇다고 단순히 그가 이상한 상황을 자의적으로 만들어내는 것은 아님을 알게 해준다. 결국 그는 항상 자신의 지성을 그가 느낀 것이나 그에게 어떤 의미가 있는 것을 드러내기 위해 사용하고 그 지성의 깊이가 그만의 스타일로 작품화 된다.
‘찰리 카우프만’표 영화의 스타일과 스토리가 아무리 독특하다 하더라도 인물들의 행동들과 감정들은 늘 손에 잡힐 듯이 실제적이다. 현실에선 그저 한 발 들어가면 스스로가 알아차리기도 전에 이미 이해하고 있게 되는 일이 있다. 배우들은 이해하고 있는 것이 무엇인지조차 모르지만 찰리 카우프만은 그걸 문제삼 지 않고 그것이 그에게 말이 된다면 보는 이에게도 말이 되는 것이라고 여긴다. 그렇게 감독과 배우들은 각 역할을 함께 만들어 나갔다.

들어는 봤니? 모건 부부
감독 : 마크 로렌스
배우 : 휴 그랜트, 사라 제시카 파커
뉴욕시가 인정한 실력있는 부동산 중계업자 메릴 모건과 잘나가는 변호사 폴 모건은 흠 잡을 데 없어 보이는 완벽한 선남선녀. 하지만 법적으로 부부인 이들은 폴이 저지른 한 순간의 실수로 몇 달째 별거 중이다. 폴은 메릴의 마음을 되돌리려 하지만, 점심 저녁으로 꽉 찬 살인적인 스케줄마저 둘 사이를 방해한다. 그러던 어느 날, 극적으로 데이트에 성공한 폴과 메릴은 근사한 레스토랑에서 식사를 마친 후 귀가하던 중 보지 말아야 할 광경을 목격하는데 바로, 살인 현장에서 범인과 눈이 마주쳐 버린 것. 이제, 완전 범죄를 꾀하는 국제적 킬러가 두 사람을 쫓기 시작하고, 폴과 메릴은 서로 간에 껄끄러움이 남아 있는 채로 FBI의 증인 보호 프로그램에 의해 생면부지 외딴 깡촌으로 함께 보내진다.

바비
감독 : 에밀리오 에스테베즈
배우 : 안소니 홉킨스, 샤론 스톤, 마틴 쉰
매력적이고 카리스마 넘치는 이상주의자 로버트 F. 케네디 상원의원의 캘리포니아 대선 예비선거 사무소가 차려진 엠버서더 호텔. 분주하게 움직이는 참모와 선거원들, 히피에게 마약을 받아 환각 상태의 선거 자원봉사자, 은퇴를 앞둔 도어맨과 그의 친구, 전화교환원과 불륜에 빠진 총지배인과 호텔미용사인 그의 아내, 결혼을 앞둔 젊은 예비 부부, 술과 담배에 찌든 한물간 여가수와 남편, 파티에 참석하려 온 중년 부부, 꿈에 그리던 다져스 경기를 보려는 주방보조와 주변 사람들 그들은 모두 그곳에 있었다. 드디어 6월4일이 오고, 로버트, F. 케네디의 민주당 대선후보 당선 확정 소식이 전해지고 모든 이들의 환호 속에서 파티장에서 빠져나가던 바비를 향해 한 젊은 남자의 총구가 겨눠진다.
시사뉴스 webmaster@sisa-news.com
Copyright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



[서울] (05510) 서울 송파구 올림픽로35가길11 (신천동) 한신빌딩 10층 TEL : (02)412-3228~9 | FAX : (02) 412-1425
창간발행인 겸 편집인 회장 강신한 | 대표 박성태 | 개인정보책임자 이경숙 | 청소년보호책임자 김지원 l 등록번호 : 서울 아,00280 | 등록일 : 2006-11-3 | 발행일 : 2006-11-3
Copyright ⓒ 1989 - 2025 SISA NEWS All rights reserved. Contact webmaster@sisa-news.com for more information
시사뉴스의 모든 컨텐츠를 무단복제 사용할 경우에는 저작권 법에 의해 제재를 받을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