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철우 기자]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2일 검찰이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 대북송금 의혹과 관련, 경기도청에 대한 대대적인 압수수색을 벌인 데 대해 "'검(檢)주국가'의 실체를 똑똑히 봤다"며 강하게 비판했다.
김 지사는 이날 저녁 페이스북에 올린 글에서 "오늘 매우 어이없는 일을 겪었다. 검찰이 오늘 경기도청과 도의회 등 열아홉 곳을 압수수색했다. 도지사 사무실도 압수수색하면서 제 컴퓨터까지 포렌식했다고 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수사 중인 사건은 수년 전 일이고, 저는 이화영 전 부지사와는 일면식도 없다"며 "지금 청사로 도청을 이전한 것은 22년 5월이고, 제 컴퓨터는 취임한 7월부터 사용한 새 컴퓨터인데 아무것도 없을 것을 알면서 압수수색을 했다고밖에 볼 수 없다. 또 아무것도 나오지 않았다고 한다. 코미디 같은 일"이라고 개탄했다.
김 지사는 "경기도는 검찰 수사에 최대한 협조해왔다. 그러나 열세 차례 이상 진행된 압수수색과 검찰권 오·남용으로 도 행정 마비가 빈번했다. 그리고 그 피해는 온전히 도민에게 돌아가고 있다"며 "이게 대통령의 뜻인지 묻지 않을 수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시계를 얼마나 거꾸로 돌리려고 하나? 권위주의 시대로 돌아가자는 것인가? '민(民)주국가'가 아니라 '검(檢)주국가'라는 말이 나오는 것도 무리가 아니다"라며 "오늘 제가 그 실체를 똑똑히 봤다. 이런 무도함이 계속된다면 국민은 결코 좌시하지 않을 것이다"라고 경고했다.
앞서 수원지검 형사6부(김영남 부장검사)는 이날 오전부터 이화영 전 경기도 평화부지사의 대북 송금 의혹과 관련 수원시와 의정부시에 있는 경기도청 남·북부청사 경기도의회 등에 검사와 수사관을 압수수색을 벌였다.
압수수색 대상은 남부청사(본청사) 내 도지사실 및 도지사 비서실, 경제부지사실(옛 평화부지사실), 도의회 기재위·농정위원회 등 20곳에 달했다.
하지만 경기도청 남부청사는 지난해 5월 수원시 팔달구에서 광교로 이전했고,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가 실제 근무했던 장소도 아니다. 게다가 이 전 부지사와 관계가 없는 김동연 지사 사무실까지 수사 대상이라는 점에서 이날 검찰의 대대적인 압수수색 배경을 두고 논란이 일고 있다.
경기도는 김 지사 PC에 대한 압수수색에 맞서다가 오후 들어 영장 집행에 응했으나 결국 15분간 포렌식에서 검찰이 가져간 파일은 단 한 개도 없다고 설명했다.
김진욱 경기도 대변인은 이날 오후 경기도청에서 브리핑을 열고 "작년 7월에 취임한 김동연 지사의 PC가 2020년 1월에 퇴직한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와 무슨 상관이냐"며 "경기도청이 작년 5월 광교 신청사로 이전했고, 이화영 전 평화부지사의 재직기간과도 상관없는 곳까지 무차별적으로 대상으로 삼은 것은 과도한 수사"라고 날을 세웠다.
이어 김 대변인은 "경기도청에 대한 (검찰의) 과도한 압수수색은 이미 그 도를 넘어서고 있다"며 "금번 압수수색은 사실상 도정을 멈춰 세운 것으로 깊은 유감을 표한다"고 공개적으로 비판했다.
이에 대해 검찰은 "정당한 압수수색을 진행하고 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수원지검은 이날 "전 경기도지사 재임 기간에 진행됐던 ‘대북’ 문제와 관련해 법원으로부터 발부받은 압수수색 영장 범위 내에서 형사소송법 등이 정한 적법 절차에 따라 집행한 것"이라고 밝혔다.